![]() |
||
적립카드 한 장 발급받는데 연봉은 왜 묻는 걸까? 똑같은 항공편의 똑같은 좌석인데 왜 가격은 천차만별일까? 구글이 휴대폰 사업에 뛰어든 이유는? 그리고 이에 마이크로소트가 긴장한 까닭은 무엇일까? 우리는 뉴스 혹은 일상생활을 통해 이렇게 알듯 모를 듯한 상황을 자주 겪는다. 이런 현상을 속 시원히 설명해 줄 수 있는 것이 바로 '첨단과학이 결합된 경영학'이다.
이 책의 저자인 MIT 공학박사 장영재는 “흥미진진한 사례를 소개해 새로운 경영의 패러다임에 한발 다가서고자 한다”며 “현대 경영의 여러 주제를 재미있게 소개하는 게 ‘경영학 콘서트’의 목적”이라고 밝혔다.
저자는 우리의 상식을 파괴하는 항공요금에 숨겨진 비밀을 ‘수익경영(Revenue Management)’에 기반한 가격책정 탓이라고 밝힌다. 항공사가 고객이 느끼는 가치에 따라 요금을 다르게 책정한다는 의미다. 예를 들어 인천-워싱턴 직항 비행기표가 인천-마닐라(혹은 도쿄)-워싱턴 경유 표보다 비싼 것은 ‘직항’ ‘기내 한국어 안내 및 한국식 기내식’ 같은 프리미엄 서비스가 제공되기 때문이다. 단순히 가격을 차별하는 것이 아니라 고객의 가치와 요구사항을 다각화해 수치화하는 과학적인 방식이 적용된 경영기법인 수익경영이 적용된 결과라는 것이다.
또한 동네 서점 아저씨에게서 느끼던 감성을 느끼게 해주는 세계적 인터넷 도서 업체 아마존 닷컴(Amazon.com)의 고객 광고 메일 비밀은 ‘데이터마이닝(Datamining)에 있다고 말한다. 아마존 닷컴은 고객이 구매했던 상품을 분석해, 앞으로 갖고 싶을 법한 책들을 메일을 통해 일일이 추천해 준다. 데이터베이스의 중요성과 그 활용의 극대화를 보여주는 예다. 과거 인공지능과 컴퓨터공학 분야에 사용됐던 데이터분석기법을 경영에 적용시킨 것이다.
포털 업체인 구글이 휴대폰 시장에 나서는 이유도 같은 이유다. 구글이 갖고 있는 강력한 정보력을 접목시켜 광고를 통해 수익을 창출시키기엔 현존하는 기기 중 가장 개인적인 기기인 휴대폰이 안성맞춤이기 때문이다. 사용자의 위치가 어디고 무엇을 검색하는 지 분석한다면 개인별 맞춤광고를 뛰어넘는 광고 비즈니스 모델이 창출은 손쉽게 만들 수 있다. 개개인의 특성에 맞춘 차별성에 휴대폰의 신속성과 지역성까지 가미한다면 과연 어떨까? 현재 구글을 심상찮게 바라보는 애플과 마이크로소프트의 심정이 이해될 것이다.
대개의 경영서적들이 CEO의 리더십이나 통찰력 등을 들려주는 데 비해 이 책은 경영이 얼마나 과학적이고 분석적인가를 설명한다. 첨단과학과 결합한 경영학 이론이 실제 현장에서 어떻게 위력을 발휘하는 지 잘 보여주고 있다.
아주경제 박성대 기자 asrada83@ajnews.co.kr
[아주경제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