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택담보대출금리 상승으로 주택 수요자들의 구입 부담이 3분기 연속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서울을 포함한 수도권 지역에 거주하는 도시 근로자들의 주택구입 부담이 상대적으로 컸다.
23일 주택금융공사(HF공사)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말 주택구입능력지수(K-HAI)는 77.1(전국 평균치)로 지난해 9월 말(75.3)에 비해 1.8포인트 상승했다.
![]() |
||
주택 수요자들의 구입 부담이 상승한 이유는 기준금리인 CD금리가 연속 상승했기 때문이다.
실제로 지난해 6월 CD금리는 2.41%로 9월 2.64%, 12월 2.82%까지 높아졌다.
또 지난해 4분기 중 가계소득(전분기 대비 0.1% 증가)은 큰 변화가 없었던 반면, 대출금리(평균 5.77->5.90%)와 주택가격(평균 1억8500만원->1억8750만원)은 증가했다.
지역별로 보면 서울·인천·대전·대구·부산 지역은 주택가격 상승으로 전분기 대비 2포인트 이상 증가했고, 경북·제주·강원·전북·경기 지역은 주택가격 변동이 상대적으로 적어 전분기 대비 상승폭이 낮았다.
특히 서울(164.5)과 수도권 지역인 경기(101.0), 인천(92.5) 등 도시 근로자의 주택구입 부담은 매우 높았다.
주택규모별로는 모든 규모의 주택이 전분기 대비 상승했지만, 135㎡ 초과 주택(대형 주택)은 상대적으로 낮은 상승폭을 기록했다.
하지만 대형주택과 국민주택규모(85㎡) 초과 주택은 광주를 제외한 모든 지역에서 100을 웃돌아 중대형 주택은 여전히 구입 부담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아주경제 이미호 기자 miholee@ajnews.co.kr
[아주경제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