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닥 상장사 가운데 저조한 실적을 기록하거나 관리종목으로 지정된 이력이 있으면 일단 투자에 주의해야 좋을 것으로 보인다. 경영진 변경이 잦거나 횡령·배임 혐의가 있었던 경우, 자금조달 시도가 빈번할 경우도 일단 조심하는 것이 좋을 것 같다.
올해 상장폐지 관리 종목에 오른 기업들의 공통점이기 때문이다.
5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코스닥상장사 중 12월 결산법인의 감사ㆍ사업보고서를 분석할 결과 올해 상장폐지사유 발생 기업은 35개사로 지난해의 36개사와 비슷한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 중 감사의견 비적정 관련한 기업이 23개사로 작년 20개사보다 늘었다. 사업보고서 미제출로 상폐 사유가 발생한 기업도 작년 1개사에서 올해 4개사로 증가했다.
반면 지난해부터 상장폐지 실질심사제도가 도입됨에 따라 자본잠식으로 퇴출된 기업 수는 지난해 14개사에서 올해 6개사로 감소했다.
특히 상장폐지 사유가 발생한 이들 35개사 중 25개사는 현재 관리 종목이거나 최근 2년간 관리종목으로 지정된 적이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또 거의 전부라고 할 수 있는 34개사가 순손실을 기록했고, 최대주주 또는 대표이사가 변동돼 경영연속성이 낮았다. 횡령ㆍ배임 혐의가 발생한 곳도 11개사에 달했다.
아울러 영업활동을 통해 자금을 창출할 수 없어 대부분 유상증자(34개)나 전환사채(26개사), 신주인수권부사채(24개사) 발행을 통해 필요 자금을 조달한 것으로 분석됐다.
거래소 관계자는 "투자에 앞서 해당 기업의 재무구조와 함께 거래소의 시장조치와 투자관련 안내사항 등을 꼼꼼히 점검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아주경제 문진영 기자 agni2012@ajnews.co.kr
[아주경제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