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신기림 기자) 세계적인 신용평가사 무디스가 14일 우리나라의 국채 신용등급을 'A2'에서 'A1'으로 한단계 올렸다. 향후 등급 전망은 원래대로 '안정적(Stable)'이라고 평가했다.
톰 번 무디스 부사장은 이날 낸 보도자료에서 △빠른 경제 회복 △정부의 신속한 위기 대응 △재정 및 금융기관의 건전성 개선 등을 이유로 등급을 상향조정했다고 설명했다. 무디스가 우리나라의 국가신용등급을 올린 것은 2007년 7월 이후 2년 9개월만이다. 'A1' 등급은 1997년 이후 최고치로 우리 경제 여건이 외환위기 이전 수준으로 되돌아 갔음을 의미한다.
번 부사장은 "글로벌 금융위기 상황에서 한국 정부의 금융·재정정책이 신속하고 적절하게 이뤄줬다"며 "경상수지 흑자, 단기외채 감소 및 2700억달러 이상의 외환보유액 확충 등을 통해 대외채무 상환불능 우려가 현저하게 줄었다"고 평가했다.
그는 "이번 등급 조정은 한국 경제가 세계적인 위기 속에서 재정적자를 억제하면서 예외적인 회복력을 보이고 있기 때문에 이뤄졌다"며 "한국 경제는 정부의 재정 축소 속에서도 5% 성장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무디스는 우리나라의 외화채권 신용등급도 'Aa3'에서 'Aa2'로 올렸고 외화예금 등급은 'A2'에서 'A1'으로 상향조정했다. 반면 원화 채권과 은행예금 등급은 'Aa1'으로 유지했다.
무디스는 다만 국영기업들의 부채가 아직은 중앙 정부에 부담을 주지 않고 있지만 최근 수년간 증가하고 있는 점은 우려된다고 지적했다.
정부는 무디스의 국가신용등급 상향조정이 국내 금융기관의 신용등급이나 전망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으로 전망했다.
허경욱 재정부 1차관은 무디스의 발표가 나온 뒤 가진 브리핑에서 "우려됐던 초계함 침몰사건과 관련한 지정학적 위험은 굳건한 한ㆍ미동맹 및 한반도 안정에 대한 중국의 역할 등으로 남북관계가 등급 상향을 저해하지 않는 요인으로 평가했다"고 말했다.
무디스와 함께 세계 3대 신용평가사로 꼽히는 피치는 우리나라에 대해 1996~1997년 11월까지 최고 신용등급 AA-를 부여했다가 지금은 이보다 한 단계 낮은 A+를, 1994~1997년 11월까지 A+를 줬던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역시 한단계 낮은 A를 유지하고 있다.
kirimi99@ajnews.co.kr
[아주경제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