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김유경 기자) 김중수 한국은행 총재가 한국의 외환보유액이 지나치게 많다는 주장에 대해 아니라는 견해를 밝혔다.
김 총재는 오는 31일부터 이틀간 열리는 한은 창립 60주년 국제 컨퍼런스에 앞서 30일 배포한 개회사에서 "글로벌 금융위기와 최근 유럽 재정위기로 신흥시장국들은 환율 급변동에 시달려야 했다"며 "급격한 외화자금 유출을 조정하기 위해 외환보유액을 확충해온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이에 대해 외환보유액이 지나치게 많다는 비판이 있지만 이번 위기를 통해 그러한 비판이 근거가 없다는 점이 밝혀졌다"며 "외환보유액이 충분했는데도 외화 유동성 부족에 시달린 신흥국이 많다"고 설명했다.
적정 외환보유액에 대해서는 "얼마나 많이 쌓아야 하는지는 잘라 말하기 어렵다"며 "대규모 외환보유액 확충은 잠재적 비용을 수반한다"고 설명했다.
김 총재의 이 같은 발언은 급격한 자본 유출입의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자기 보험적' 성격의 외환보유액 확충만으로는 불충분하고, 국제 금융안전망 구축 같은 '상호 보험적' 성격의 대책이 필요하다는 점을 강조하는 최근 여론에 대한 반박 논리로 제기됐다.
그는 이날 한국의 외환보유액에 대해 '절대 지나치지 않다'는 인식을 강조했다. 지난달 말 외환보유액은 2788억7000만 달러로 세계 6위권을 유지하고 있다.
한편, 김 총재는 한은의 금융안정 기능을 강화해야 한다며 한은법 개정 의지를 시사했다.
그는 "중앙은행이 금융 불안을 예방하는 데 보다 더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는 요구가 거세지고 있다"며 "한국에서 이 문제는 한은의 설립 목적에 금융안정 기능을 추가하는 한은법 개정안 문제와 연계돼 세간의 이목을 집중시켰다"고 말했다.
그는 비록 "중앙은행의 금융안정 기능을 강화하기 위해 구체적으로 취할 수 있는 정책 수단은 아직 논란의 대상"이라면서도 "거시적 평가와 분석에 전문성을 갖춘 중앙은행이 거시 건전성 규제를 맡을 적임자"라고 주장했다.
김 총재는 앞서 지난 29일 서울 하얏트 호텔에서 미국 와튼스쿨이 주최한 '글로벌 동문 포럼'에 기조연설자로 참석해 "경제상황 차이 등을 감안할 때 출구전략 시기는 국가별로 다를 수 있다"고 밝혔다. 그는 "중앙은행이 금융안정 기능을 효율적으로 수행하려면 유동성 조절 수단을 확충해야 한다"고도 주장했다.
ykkim@ajnews.co.kr
[아주경제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