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문진영 기자) 성남시 여파로 지방공사채 신규발행과 매매거래 규모가 크게 줄었다. 지난주 인천도시개발공사는 예정돼 있던 1000억원 규모 채권발행을 연기하기도 했다. 이에 따라 지방채 금리는 급등하고 매수자 없이 낮은 가격에 물량을 내놓는 매도자만 채권시장에 서성거리는 모습이다. 정부가 직접 나서 지역개발공사에 구조조정을 단행하는 등 조치를 취하기 전까진 이전 수준의 매매거래 규모를 되찾긴 어려울 전망이다.
19일 코스콤과 금융투자협회에 따르면 성남시의 채무지급유예(모라토리엄)이 선언된 이후 지방공사채 유통거래량은 14일(1078억원)과 13일( 671억원)을 제외하면 12일 151억원, 15일 245억원, 16일에는 335억원을 기록했다. 지난 6월 지방공사채 매매 평균 거래량 522억원 이었다.
증권사가 내놓은 각 지방공사채 발행 5년만기 소매물량과 비교해도 유통규모는 눈에 띄게 줄어든 것을 알 수 있다. 증권사들이 13일 13건에서 14일 31건, 15일 43건으로 판매 물량을 늘렸지만 같은기간 매매거래량은 오히려 줄어든 것. 파는 사람은 나타나는데 실제 매매되는 경우는 드물었다는 이야기다.
지방채 거래가 소강상태에 접어들자, 지방채 금리도 현재 4bp 이상 오른 상태다.
신환종 우리투자증권 연구원은 "성남시 채무지급유예 선언 이후 리스크 증가로 지자체가 발행하는 지역개발채 등을 사겠다는 주문이 사라져 매매가 거의 중단됐다"며 "지방공사채를 많이 담았던 운용사나 기관 등도 편입을 올스톱하고 눈치보기에 나선 상태"라고 말했다.
성남시 사태는 지방공사채에 대한 불신을 한번에 키울 시초가 될 것이라는 전망이다. 지역개발공사들의 재정건전성 문제는 이전부터 업계의 지적을 받아왔다. 그러나 중앙정부의 지원가능성을 굳게 믿고 기관투자가들은 지방공사채 편입을 늘려왔기 때문.
신환종 연구원은 "지역개발공사들이 부도를 맞을 확률은 낮지만 지방공사채는 지자체 지급보증 의무가 명기시 돼 있지 않고, 최근 악화일로를 걷고 있는 부동산 부문 개발과 대부분 관련돼 있기 때문에 불신의 골은 쉽게 회복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박형민 동양종금증권 연구원은 "이번 사태로 LH공사채 스프레드 뿐만 아니라 양호하지 않은 개발공사들의 채권 스프레드가 확대될 수밖에 없는 상황이 됐다"고 분석했다.
한 증권사 채권딜러는 "정부가 구조조정 등을 통해 지역개발공사의 채무상환 능력과 의지를 끌어내기 전까진 지방채 매매는 활성화되기 어려울 것"이라고 지적했다.
agni2012@ajnews.co.kr
[아주경제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