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장용석 기자) 한나라당 서민정책특별위원회(위원장 홍준표 최고위원)가 오는 30일부터 본격 가동된다.
홍준표 최고위원은 28일 오전 서울 여의도 당사에서 열린 최고·중진연석회의를 통해 “그간 형식적으로 있어온 당내 서민정책기구를 통·폐합한 서민정책특위가 오는 30일 새로 출범한다”고 말했다.
서민정책특위는 그동안 한나라당에 덧씌워진 ‘대기업당’, ‘부자당’의 이미지에서 벗어나 보다 실효성 있는 서민정책을 마련키 위한 것으로, 최근 이명박 대통령이 강조하고 있는 친(親)서민 및 친(親)중소기업 정책기조와도 맥을 같이하고 있다.
이에 따라 특위는 정책수립 과정에 현장의 목소리를 적극 반영키 위해 기존의 대학교수 등 외에 재래시장 상인이나 일용직 노동자, 택시기사 등을 참여시키기로 했다.
또 특위 산하에 ▲재래시장 ▲서민자녀 학자금 ▲대·중소기업 하청구조 개선 ▲택시 ▲일자리 ▲서민 영유아 ▲농수산물 유통구조 개선 및 쌀값 대책 ▲서민금융 ▲서민의료 등 10개 분과 위원회를 별도로 구성하는 한편, 각 시·도당과도 연계해 지역별 맞춤형 정책을 마련한다는 계획이다.
홍 최고위원은 "특위에선 서민정책 어젠다를 소주제별로 설정해 그에 맞는 현장대책을 강구해나갈 것"이라며 특히 "청와대 서민정책비서관을 회의에 참여시켜 각 지역의 의견을 수렴, 즉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강조했다.
현재 특위는 출퇴근 시간에 택시의 버스 전용차로 통행을 허용하는 한편, 서민대출을 꺼리는 은행에 대해 일정 부분 저금리로 강제 대출토록 하고, 은행 순이익의 일정액을 떼어 서민기금으로 적립하는 등의 방안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아울러 서민 자녀의 대학 등록금을 면제 또는 인하해주는 ‘대학등록금 차등제’도 함께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ys4174@ajnews.co.kr
[아주경제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