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희스타힐스

중국 정부, 친환경 차량 구매 보조금 지원정책 전면 확대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0-07-29 17:20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아주경제 장경희 기자) 중국 정부가 친환경 자동차 보급 촉진을 위해 구매 보조금 지원정책 시범 지역을 대폭 확대할 예정이다.

중국의 공업정보화부 등 관련 부처rk 신에너지를 동력으로 사용하는 친환경자동차에 대한  구매 보조금 지원정책 시행지역을 기존 20개 도시에서 25개 도시로 확대 시행할 방침이라고 중국 소후닷컴이 29일 보도했다.

지난 27일 상하이엑스포 공원의 ‘상하이자동차-GM’ 관람회장에서 열린 ‘전기화-미래형 엔진포럼(이하 포럼)'에서 라이샤오캉(來小康) 중국전력연구원 초전도전력 및 신소재연구소 부소장은 “정부는 친환경 자동차에 대한 구매 보조금 지원 정책의 시행 도시를 20개에서 25개로 확대키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정부의 보조금 지원 범위 확대로 중국의 친환경자동차 산업 발전이 한 층 탄력을 받을 것으로 기대된다. 중국은 2015년까지 친환경 자동차의 보급량을 수백만대까지 끌어올린다는 계획이다.

이를 위해 중국은 친환경 자동차 산업 발전을 저해하는 각종 문제 해결에 나섰다. '전기화-미래형 엔진포럼'도 그 중 한가지.

라이 소장은 이번 포럼에서 전문가들은 중국의 친환경 자동차 보급 촉진을 위한 다양한 의견을 교환했다고 덧붙였다. 그는 특히 전기자동차의 비싼 전지료와 일반 자동차보다 비싼 판매가 등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전지 임대· 충전지의 수명연장과 사후관리(A/S) 등 친환경 자동차 보급을 위한 방안이 집중 논의 됐다고 전했다.

중국은 특히 전기자동차의 전지 임대 방안이 친환경 자동차 보급을 위한 '기폭제'가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그동안 단위 시간당 지나치게 비싼 전력 단가가 소비자의 친환경 자동차 구매를 망설이게 했던 주요 원인으로 지적됐기 때문이다.

LG 화학 푸라하카 파티르 수석집행관은 “리튬 충전전지의 단가가 하락하고 있지만 단위 시간당 전력 사용료는 200 달러에 이르고 있다”면서 “전기 동력의 친환경 자동차의 생산 원가에서 전지 단가가 차지하는 비중이 컸고, 이는 친환경 자동차의 판매가격이 성능대비 높았던 주요원인'이라고 설명했다.

때문에 전지임대 방안은 신에너지 동력의 친환경 자동차의 가격을 낮춰 소비자의 구매를 촉진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이미 안후이성(安徽省) 지역 업체들은 전기차 전지 임대 서비스를 시작했다.  안후이안카이(安凱汽車)자동차는 지난해부터 허페이(合肥)와 다롄(大連) 그리고 상하이 등지에서 순수 전기동력 자동차의 충전지 임대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이외에도 안후이 지역에 생산공장이 있는 장화이자동차(江淮汽车)와 저장, 후난 등지에서 차량을 생산하는 중타이자동차(众泰汽车)도 속속 충전지의 임대 사업에 나서고 있다.

중국은 또한 전국에 전기충전 설비도 대폭 확충할 계획이다.

라이 소장은 “올해 말까지 국가 전력망은 27개 성(省)과 도시에 75개 곳의 충전소와 6000여 곳의 충전시설을 설치하기로 했으며 오는 2016년에는 충전소 400여개를 추가 설치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그는 또한 "2020년까지 전국에 총 1만여 개의 충전소가 건설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zhangjx@ajnews.co.kr
[아주경제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아주NM&C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