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인터넷뉴스팀 기자) 이명박 대통령은 광복절을 하루 앞둔 14일 8.15 경축사를 다듬는 데 마지막까지 심혈을 기울였다.
이번 경축사는 임기 반환점을 앞두고 집권 후반기 국정운영 기조를 국민에게 공식발표하는 성격이 있기 때문에 이 대통령도 내용 하나하나에 큰 의미를 두고 있다고 한다.
이 대통령은 이날 오전 임태희 대통령실장을 비롯한 신임 참모진과 청계천을 산책한 뒤 관저로 돌아와 전날까지 완성된 경축사 원고 초안을 꼼꼼히 검토하면서 '퇴고'에 심혈을 기울인 것으로 전해졌다.
앞서 이 대통령은 전날까지도 홍상표 홍보수석, 정진석 정무수석, 김두우 기획관리실장 등 핵심 참모진과 함께 장시간의 독회를 통해 원고를 성안하고 수정을 거듭했다는 후문이다.
경축사의 핵심 화두는 '공정한 사회 구현'이다.
경축사 제목은 공정성 확보로 국민 전체가 동반 성장한다는 취지를 담은 '함께 가는 국민, 더 큰 대한민국'이 될 것으로 알려졌다.
이 대통령은 우선 경축사에서 우리 사회가 공정한 '게임의 규칙'을 확립해 국민 누구나 정당한 노력을 통해 성공할 수 있고 계층 상승도 가능한 사회를 만들어야 한다는 국정 철학을 거듭 강조할 것으로 전해졌다.
부자나 대기업 등 강자가 '노블레스 오블리주' 의식을 갖고 사회적 책임을 다해야 상생이 가능하다고 강조하면서 "우리 모두 함께 더 큰 대한민국을 향한 새로운 시작의 첫발을 내딛자"고 호소하는 내용이 경축사의 중심이 될 것이라고 한다.
이 대통령은 또 집권 후반기에는 '친(親)서민' 정책기조를 강화해 경제 회복의 온기가 서민층에게까지 널리 퍼지도록 하겠다고 약속할 것으로 알려졌다.
아울러 젊은이들에 대해 변화와 진취적 도전의식을 주문하고 자율과 창의를 통해 미래를 개척해야 한다는 점도 강조할 예정이다.
남북 관계의 경우 우리 정부가 내세워온 민족공동체 통일방안을 조금 더 구체화해 제시하고, 이를 북한이 수용할 것을 재차 촉구할 것으로 알려졌다.
민족공동체 구상이란 북한의 비핵화와 남북간 군사적 긴장 해소로 평화 체제를 정착시킨 뒤 남북간 경제공동체를 실현하고, 궁극적으로는 민족공동체를 형성해 통일로 나아가자는 내용이다.
청와대 핵심 참모는 "경제공동체, 민족공동체 구상이 다소 추상적인 만큼 그에 따른 액션플랜을 조금 더 제시하는 형태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한일강제병합 100년을 맞은 광복절에 나올 대(對)일본 메시지는 한일 양국 관계의 미래지향적 발전을 위한 일본의 실천적 노력을 촉구할 예정이다.
간 나오토(菅直人) 일본 총리의 '식민지 지배 사과 담화'에 대한 화답으로서 담화문의 미흡한 내용을 비판하기보다 일본이 담화에서 약속한 사항을 행동으로 보여야만 한일 관계의 미래지향적 발전이 가능하다고 강조할 것으로 전해졌다.
news@ajnews.co.kr
[아주경제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