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인터넷뉴스팀 기자) 일본과 한국의 전문가들이 14일 야스쿠니신사에 합사된 한국인 2만1000명의 이름을 삭제하라고 요구했다.
일본 도쿄대 대학원의 다카하시 데쓰야 교수는 이날 도쿄시내 사회문화회관홀에서 열린 '식민지 지배와 야스쿠니' 세미나에서 "일본의 '호국영령'으로 신격화돼 제사를 받고 있는 한국인을 신사에서 삭제해야 한다고 유족들이 요구하고 있지만 야스쿠니신사와 일본 정부는 귀를 기울이지 않고 있다"며 각성을 촉구했다.
다카하시 교수는 야스쿠니신사 측이 "합사된 한국인이 2차 세계대전 당시 일본인으로서 전쟁에 참가해 일본인으로 사망했기 때문에 일본인으로 합사된 것이어서 아무런 문제가 없다고 주장하지만 이는 야스쿠니신사가 지금도 과거의 식민주의를 전혀 반성하지 않고 있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일본의 사법부도 야스쿠니에 합사된 고인의 유족들이 낸 합사 취소 소송에 대해 문제점을 적절하게 지적해 합사 취소가 가능하도록 법적 판단을 내려야 한다"고 요구했다.
한국의 민족문제연구소 김승태 연구위원도 일본 전범들이 신으로 추앙되고 제국주의와 침략주의에 이용된 야스쿠니신사에 합사된 한국인을 신사에서 삭제해야 한다고 밝혔다.
김 연구위원은 야스쿠니신사에 합사된 한국인은 모두 2만1181명에 달한다면서 "야스쿠니에 합사되는 것이 일본인에게는 자랑스러울지 모르나 한국인에게는 치욕이기 때문에 즉시 이들을 합사에서 제외하고 일본 정부와 야스쿠니신사는 유족들에게 사죄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그는 "야스쿠니신사에 합사된 일본인은 한민족에게는 민족과 국가의 침략자이자 가해자, 압제자로 원수인 만큼 한국인이 이들과 이름을 함께하는 것은 전쟁범죄자이자 매국노의 명부에 이름을 올린 것이나 마찬가지로 수치스러운 것이어서 고인이나 유족의 의사에 반하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김 연구위원에 따르면 1945년 해방 전에 야스쿠니신사에 합사된 한국인은 육군 149명, 해군 266명 등 415명이었으나 1945년 8월 이후 일본정부와 야스쿠니신사에 의해 전시동원됐다 사망한 한국인들이 대거 합사되면서 합사자가 크게 늘었다.
이들은 대부분 군인·군속으로 강제동원된 피해자임에도 야스쿠니에 합사돼 일본의 '수호신'이 됐다.
야스쿠니에 합사된 일본인 중에는 전쟁범죄자 외에도 1909년 5월의 의병진압 관련자 50명, 1910년 5월의 의병진압 관련자 109명, 1911년 5월의 의병진압 관련자 27명, 임오군란 진압관련자와 갑신정변 관련자 등 모두 205명이 조선침략 관련자이며 이외에도 1919년 3.1독립운동 탄압자 등이 다수 포함돼 있다.
news@ajnews.co.kr
[아주경제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