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방영덕 기자) 금융소외계층 중 절반 이상이 본인의 신용등급을 정확히 모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부업 대출 이용 경험'이 있는 응답자 가운데 44.5%는 '40% 이상' 높은 금리로 대출을 이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산관리공사(캠코)는 1년 이내 100만원 이상 대출경험이 있는 20~50대 성인남녀 중 금융소외계층 6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이 같이 드러났다고 25일 밝혔다.
조사 대상자 중 53.2%는 본인의 신용등급이 몇 등급인지 '모른다'고 응답했다.
다만, '대부업 대출 문의자'와 '대부업 대출이용자'의 경우 각각 55.5%, 64.5%가 본인의 신용등급을 알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캠코 관계자는 "대부업 대출 이용자 중 57% 가량이 7등급 이하 저신용층"이라며 "낮은 신용등급 때문에 제1금융권에서 대출을 거부당하는 사례가 많다보니 자연스럽게 본인의 신용등급을 알 수 있었던 것으로 풀이된다"고 말했다.
대출종류로는 '신용대출’(45.8%)을 통해 돈을 빌리는 비율이 높았다. 다음으로 '신용카드 현금서비스'(39.8%), '마이너스 통장'(32%) 순으로 나타났다.
금액별로는 '1000만원 이하'로 대출받은 사람이 전체 53%를 차지해 소액대출이 주를 이뤘다. 평균대출금액은 1428만원이며 경제활동이 활발한 ‘30대 직장인’의 대출금액이 1682만원으로 가장 많았다.
한편 '대부업 대출 이용 경험'이 있는 응답자 중 44.5%는 '40% 이상' 높은 금리로 대출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중 59.3%도 '30% 이상' 고금리를 쓰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에 대해 캠코 측은 "대출 받기 전 캠코가 운영 중인 새희망네트워크를 방문하면 무료로 신용등급을 조회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본인의 재무상황에 따라 대출 가능한 상품을 미리 검색할 수 있어 편리하다"고 말했다.
아울러 대부업체나 캐피털 등에서 연 20% 이상 고금리로 돈을 빌린 경우 신용회복기금의 '전환대출' 이용시 9.5%~13.5%의 은행대출로 갈아탈 수 있다고 설명했다.
sommoyd@ajnews.co.kr
[아주경제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