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삼성전자의 '옴니아7' LG전자의 '옵티머스7' HTC의 'HD7' |
(아주경제 김영민 기자) 스마트폰 시장에서 마이크로소프트(MS)의 공습이 본격화되고 있다.
지난해 10월 윈도모바일 6.5를 끝으로 1년여의 잠복기를 가졌던 MS는 새로운 모바일 운영체제(OS)인 '윈도폰7'으로 대반격에 나섰다.
MS는 구글과 애플이 주도하고 있는 모바일 OS 시장에서 과거 모바일 OS 최강자의 명성을 되찾는다는 전략이다.
이를 위해 MS는 글로벌 휴대폰 제조업체들과 적극적인 협상를 통해 윈도폰7 기반 스마트폰 라인업을 확대, 윈도폰7 대중화를 앞당긴다는 계획이다.
10일 업계에 따르면 삼성전자, LG전자, HTC, 델, ASUS 등 글로벌 제조업체들이 MS의 윈도폰7 탑재한 스마트폰을 출시했거나 조만간 출시할 예정이다.
이들은 MS가 윈도폰7을 공식 발표하기 전부터 윈도폰7 프로젝트에 참여해 적극적인 관심을 보여온 업체들이다.
삼성전자는 지난달 말 미국시장에 '포커스', 유럽시장에 '옴니아7'을 출시했다.
포커스는 삼성전자의 북미 시장 전략 윈도폰7 스마트폰으로 슈퍼 아몰레드(AMOLED) 디스플레이를 탑재하고 초슬림 디자인을 구현한 것이 특징이다.
유럽시장에 출시된 옴니아7은 1GHz 프로세서, 빠른 와이파이 전송 속도 등 뛰어난 하드웨어 성능을 지원한다.
삼성전자 관계자는 "미국과 유럽시장에 출시된 윈도폰7 기반의 스마트폰에 대한 초기 반응은 매우 좋은 편"이라며 "윈도폰7 OS의 특징과 제품 디자인 등으로 IT전문 리뷰 사이트에서도 호평을 받고 있어 앞으로 판매량이 크게 늘어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삼성전자는 연말까지 포커스, 옴니아7에 대한 적극적인 마케팅을 추진하고 내년에는 다양한 윈도폰7 라인업을 통해 글로벌 시장 공략에 나설 계획이다.
LG전자는 지난달부터 윈도폰7을 탑재한 '옵티머스7'을 영국, 프랑스, 독일, 호주 등에 출시했다.
또 오는 21일에는 옵티머스7에 쿼티(QWERTY) 자판을 적용한 '옵티머스7Q'를 미국 시장에 출시한다.
옵티머스7은 휴대폰에 저장된 HD급 동영상·음악·사진 등 멀티미디어 파일을 간편하게 전송할 수 있는 ‘플레이투(Play to)’, 음성으로 트위터, 페이스북, 문자메시지 글을 입력하는 ‘보이스 투 텍스트’ 등의 기능을 탑재했다.
MS와 밀접한 관계를 맺어온 대만의 스마트폰 전문업체 HTC는 지난달 말 HTC7 서라운드, 모짜르트, 트로피, 프로와 HTC HD7 등 총 5종의 윈도폰7 스마트폰을 출시했다.
이 제품들은 현재 북미, 유럽, 아시아-태평양지역에 순차적으로 출시되고 있다.
HTC 7 서라운드는 슬라이드 형태의 스피커를 장착했으며, 멀티미디어 감상에 최적화된 제품이다.
모짜르트는 PC와 연동시키면 어디서든 음악이나 영상 감상이 가능하고, 트로피는 게임 플레잉에 최적화됐다.
프로는 쿼티 슬라이드 자판을 탑재했고 HD7은 4.3인치 와이드스크린을 적용한 것이 특징이다.
이외에 델, ASUS 등 PC 관련 제조업체 등도 조만간 윈도폰7을 출시할 예정이다.
mosteven@ajnews.co.kr
[아주경제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