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이광효 기자. |
이명박 대통령은 지난 3일 가진 ‘2011년 신년 특별연설’에서 “한정된 국가 재정으로 무차별적 시혜를 베풀고 환심을 사려는 복지 포퓰리즘은 문제의 해결책이 결코 아니다”라며 “도움이 필요 없는 사람에게 돈을 쓰느라 꼭 필요한 사람에게 도움을 주는 것을 가로막는다”고 말했다.
윤증현 기획재정부 장관도 신년사에서 “복지정책은 원칙과 규율이 있어야 지속될 수 있다는 점에서 무책임한 포퓰리즘적 주장들은 결국 서민들에게도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생각한다”며 “나라 곳간을 주인이 없는 공유지 취급해 서로 소를 끌고 나와 계획없이 풀을 뜯긴다면 초지가 황폐화되는 ‘공유지의 비극’을 초래할 수 있음을 명심해야겠다”고 말했다.
잇단 복지 포퓰리즘 비판이 최근 진보적 시민사회단체들과 민주당을 비롯한 야당들이 강력하게 추진하고 있는 전면 무상급식을 향하고 있다는 데 대해 이의를 제기하는 사람들이 별로 없다.
이 대통령과 정부 관계자들은 국민들이 '달콤한 공짜돈'에 현혹돼 선진국 같은 복지정책을 원하는 것으로 생각하는 듯하다. 그러나 정부가 절대로 간과할 수 없는 것이 있다. 전면 무상급식이 필요하다는 '잘못된 주장’에 국민이 높은 지지를 보내고 있다는 사실이다.
최근 발표된 ‘2010년판 국세통계 연보’에 따르면 2009년 기준 전체 근로소득자 수는 1429만4993명인데 이 중 37.8%인 541만명이 연간 1200만원 이하의 급여를 받았고 69.3%가 연봉이 3000만원 이하였다. 국민의 70%가 세금과 의료보험료 등 준조세를 공제하고 월 200만원 조금 넘는 돈을 손에 쥔다는 뜻이다.
보통 학교 급식비는 월 5만원~7만원 정도이기 때문에 초·중고생 자녀 2명 이상만 돼도 한 가정당 학교 급식비로 매달 10만원을 웃도는 돈이 들어간다. 즉 대다수 국민들이 학교 급식비가 큰 부담이 될 만큼 경제적으로 열악한 상황에 놓여있는 것이다.
전면 무상급식이 '복지 포퓰리즘'이라 하더라도 정부가 먼저 해야 할 일은 전면 무상급식에 대한 비판이 아니다.
최소한 대다수 국민들이 왜 전면 무상급식을 지지하는지 진지하게 생각하고 어떻게 해결할지 고민이라도 한 다음에 비판하는 것이 순서가 아닐까?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