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비아 사태...중국 유전개발사업 ‘제동’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1-02-23 14:10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대다수 프로젝트, 양국 외교관계를 통해 이뤄져<br/>정권교체, 쿠데타, 정국혼란 발생시 사업에 영향 미쳐

리비아에서 정부군과 민주화 시위대 간의 대규모 유혈 충돌 사태가 발생, 정국이 혼란상태에 빠지면서 현지 진출 해외 기업들의 피해가 속출하고 있다.



(아주경제 배인선 기자) 아프리카 최대 석유 수출국인 리비아에서 정부군과 민주화 시위대 간의 대규모 유혈 충돌 사태가 발생, 사실상 내전 상태에 접어들면서 이곳에 진출한 중국 석유업체들의 사업에도 불똥이 튀었다. 현재 리비아에 진출한 중국 기업, 특히 석유업체들의 사업현장이 정치적 혼란 속에서 사업 진행에 난항을 겪고 있다.

중국 현지 매체 보도에 따르면 지난 21일 저녁 10시경 리비아 미수라타에 소재한 페트로차이나의 한 유전사업장에 반정부 시위대가 습격, 사업현장 차량과 재물을 약탈해 약 수천 만 위안의 경제적 손실을 입었다.

이밖에 중국철도엔지니어링(CREC), 중국교통건설집단유한공사(CCGRP) 등 사업장에서도 시위대 습격으로 재물 약탈, 인명 피해를 입은 것으로 드러났다.

두밍하오(杜明皓) 주 리비아 중국 대사관 대변인은 22일 “최근 리비아에 소재한 중국계 기업 사업 현장에 잇따라 폭도들이 난입하면서 15명이 중상을 입었다”고 전하기도 했다.

업계 전문가들은 이번 리비아 사태로 무엇보다 중국 석유회사들의 사업 프로젝트에 제동이 걸릴 것이라고 분석했다.

그 동안 중동이나 아프리카에 진출한 중국 업체들의 경우 법적인 절차를 걸쳐 진출한 것이 아니라 모종의 정치적 관계에 의해 투자를 진행해온 만큼 해당국 내부의 정치적 요소에 의해 사업이 좌지우지 될 수 있다는 것이다.

추이서우쥔(崔守軍) 중국 런민대(人民大) 국제에너지전략연구센터 연구부 주임은 “리비아를 비롯한 아프리카 전역에서 진행되는 대다수 석유사업 프로젝트의 경우 중국과 리비아 정부간 외교관계에서 이뤄진다”며 “정권교체나 쿠데타, 정국혼란 등 정치적 변동 사태가 발생할 경우 사업 진행에 난항을 겪을 가능성이 매우 크다”고 분석했다.

실제로 중국의 아프리카 투자는 석유와 천연가스, 광산에 집중돼 있다. 중국 잉리 그린에너지는 남아프리카공화국과 4억3500만 달러 규모의 협정을 맺었다. 중국비철금속집단공사(CNMC)도 2009년 잠비아의 구리광산에 5000만 달러를 투자하기도 했다. 석유회사 시노펙도 지난해 3월 앙골라 심해 18광구의 지분을 28.5% 인수했다.

모두 중국이 이들 지역에 저리차관 등과 같은 각종 혜택을 제공하는 대가로 중국 업체들이 해당 지역의 에너지를 확보해오는 방식이다.

린보창(林伯强) 샤먼(廈門)대 중국 에너지 경제연구센터 주임은 “캐나다, 남미 등과 같이 정국이 안정된 지역에는 비록 석유자원 매장량이 풍부하지만 중국 석유업체들이 진출하기 어려운 편”이라며 “이에 따라 대다수는 리스크를 감수하고서라도 비교적 투자가 수월한 정국이 불안정한 아프리카나 중동에 진출하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통계에 따르면 리비아 내 철수해야 중국인 수는 모두 1만5000여명에 달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후진타오(胡錦濤) 국가주석과 원자바오(溫家寶) 총리 등 중국 지도부는 리비아 내 건설현장의 중국 공민 안전과 재산피해 방지에 전력을 기울여달라고 주문했다. 중국 정부는 현재 전세기를 수배해 급파하는 한편 북아프리카 부근에서 조업중인 선박을 리비아로 보내 본격적인 교민 철수에 나서고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아주NM&C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