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자전이란 적의 C4I(지휘통제체계)와 전자무기체계의 기능을 마비 또는 무력화시키는 군사행위로 이미 중국과 러시아, 일본 등 주변국은 전자전 수행 능력을 완비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북한도 1970년대부터 전자전을 의식해 우리 군보다 10년 이상 먼저 초보적인 수준의 전자전을 준비해왔다.
이에 따라 북한은 감청이나 기타 전파교란에 대비,1990년대 후반에는 주요 작전부대의 통신망을 광케이블로 교체했으며 최근에는 최전방 부대의 통신선까지 교체했다.
또한 북한은 현재 평양~원산 축선 이남에 전자전 수행 기지 수십 곳을 운용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 4일 수도권 일대의 GPS 수신 장애를 가져온 교란 전파를 발사한 해주와 개성에도 전자전 기지가 있는 곳으로 알려졌다.
이외에도 북한은 50~100㎞의 범위에서 GPS 전파교란을 할 수 있는 차량 탑재 러시아제 재밍(jamming.전파방해) 장비를 도입, 군사분계선(MDL) 인근 2~3개 지역에 배치했으며 이번 전파교란도 이 장비를 활용했을 공산이 큰 것으로 분석됐다.
남한의 전파탐지를 위해서는 북한은 중서부지역과 평양 인근에 전자정보 수집기지와 전파방해 기지를 설치하고 있다. 북한은 총참모부 산하에 지난 2001년 정보통제센터를 설치했으며, 이 센터는 정찰국의 감청.정보정찰부대와 지상군, 해군, 공군 전자.정보전연구소를 각각 통제하며 사이버전을 대비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우리군도 1993년 9월 프랑스제 전자전 장비를 도입, TRC-613L 전자공격(EA) 장비와 TRC-274C 전자전 지원(ES) 장비를 최전방에 배치했다. EA 장비는 고주파를 북한군에 발사해 무선통신망을 교란시키는 데 활용되고 있고, ES 장비는 일정 영역대의 주파수 범위를 설정해 여기에 걸려든 전파를 분석해 통신 내용을 감청하는 데 사용된다.
북한군의 통신망 광케이블 교체 이후에는 동부전선 일대에 차기 전자전 장비를 추가 도입해 설치키로 하고 올해 국방예산에 관련 예산을 반영한 상태다.
이외에도 공군은 적의 대공 위협으로부터 조종사의 생존능력을 강화하는 전자전 훈련 장비(EWTS)를 도입 중이다. 또한 군은 적 전자기기체계를 무력화하는 EMP(전자기펄스)탄과 고출력 마이크로웨이브(HPM)탄도 개발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와 관련 국방과학연구소는 지난 2008년 9월부터 EMP탄 시험개발에 착수한 상태다. 2015년께는 시험 평가할 수 있는 단계까지 도달할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개발 중인 HPM탄은 20억W의 전력을 분출해 반경 300여m 이내의 모든 전자제품을 무력화할 수 있는 전자전 무기체계로 평가되고 있다.
이밖에 북한의 핵무기가 폭발할 때 발생하는 EMP를 방호하는 체계를 위해 2014년까지 1000억원을 투입해 국가 중요시설에 구축될 예정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