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상하이 현지 조사를 통해 전직 영사 법무부 파견 H씨, 지경부 파견 K씨, 외교부 P씨 등과 중국인 여성 덩모씨와의 추문과 현 정권 실세들의 전화번호 등이 유출된 경위 등을 조사할 방침이다.
또 H씨 등이 덩씨의 부탁을 받고 비자발급 업체 선정, 비자발급 등의 과정에서 편의를 봐줬는지와 전화번호 이외의 다른 기밀자료 유출은 없었는지 등에 대해서도 확인할 예정이다.
이와 함께 조사단은 덩씨에 대한 교민들의 투서 묵살 의혹과 이번 사건에 추가로 연루된 총영사관 직원들이 있는지 등에 대해서도 전체적으로 점검할 것으로 전해졌다.
하지만 조사단이 총영사관 직원과 교민들의 증언에 의존해야 하고 덩씨에 대한 조사가 사실상 불가능한 만큼 현지조사에서 진상이 드러나기엔 한계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한편, 총리실 공직복무관리관실은 이날 김 전 상하이총영사를 상대로 기밀자료 유출 경위 및 관여 여부, 부총영사와의 알력 여부 등에 대해 사흘째 조사를 벌인다.
앞서 공직복무관리관실은 9일 덩씨와 부적절한 관계를 갖고 특혜를 제공했다는 의혹을 받고 있는 전직 영사 K씨, P씨를 창성동 사무실로 불러 자료유출 여부 등을 조사했으나 모두 이를 부인한 것으로 전해졌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