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율 급등에 물가 초비상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1-03-20 18:41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日지진에 환율 급등세·리비아 공격이 기름붓나… 물가당국 초비상

(아주경제 김선환 기자) 일본 대지진에 이어 리비아에 대한 국제사회의 공격 개시가 원·달러 환율 급등세에 기름을 부을 가능성이 제기되면서 물가당국에 비상이 걸렸다.

20일 기획재정부와 외환당국에 따르면 지난 주말 서울 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평균환율은 1137.60원을 기록했다.

일본 도호쿠 지역 대지진 사태가 발생하기 전인 지난 11일 1118.40원까지 내려갔던 원·달러 평균환율이 지난주 5거래일 동안 무려 19.20원이나 급등한 셈이다.

물가안정에 최우선 목표를 설정한 정부는 환율 급등으로 물가부담이 커지자 곤혹스런 처지에 빠졌다. 재정부는 외환시장의 변동성이 커지자 지난 18일 임종룡 기획재정부 1차관 주재로 상황대책반회의를 긴급 소집했다.

원·달러 환율과 국제유가가 각각 10% 오를 때 소비자물가 상승효과는 환율이 유가보다 4배 높을 정도로 환율 상승이 물가에 미치는 영향은 광범위하다. 모든 수입품의 가격을 높이기 때문이다.

세계 경제 쇼크가 발생할 때마다 원화가격은 곤두박질 친다. 달러는 뉴욕 외환시장에서는 지난 16일(현지시간) 엔화에 대해 사상 최저로 떨어졌으나 서울 외환시장에서는 원화가 약세를 보이면서 아시아 주요 통화 가운데 절하폭이 상대적으로 커 외환당국의 고민이 깊어지고 있다.

특히 일본 대지진 발생 이후 이날까지 달러화에 대해 원화는 1.01% 하락했으나, 홍콩 달러 -0.18%, 말레이시아 링깃 -0.87%, 필리핀 페소 -0.75% 등에 그쳤고, 대만 달러와 태국 바트는 오히려 각각 0.12%, 0.40% 상승했다. 다른 아시아 국가에 비해 외국인 투자자들이 달러를 조달하기 쉬운 곳이기 때문이다.

1997년 외환위기 당시에도 원화 환율은 2000원대를 웃돌았고, 지난 글로벌 금융위기 때에도 국제 투자자들은 안전자산 선호심리를 발동해 원화를 팔고 달러와 엔화를 사들이는 일이 계속돼 왔다.

이번 일본 대지진 사태 이후에도 신흥시장 국채와 해외자산 등에 막대한 투자를 해온 엔캐리트레이드(저금리인 엔화를 사 미 국채 등 해외자산을 매입하는 현상) 역류가 원화가치 급락을 가져온 요인으로 분석되고 있다.

여기에 리비아 내전사태가 국제전으로까지 비화되면서 원화 환율 움직임이 한쪽으로 쏠릴 가능성은 어느 때보다 커진 상황이다.

재정부는 지난해 4월 원·달러 환율이 1100원대로 급락할 당시 과도한 쏠림현상이 있다며 적절한 조치를 취하겠다고 구두개입한 이후 지금까지 공식적인 구두개입은 하지 않았다. 다만 쏠림현상이 심해지면 '미세조정'(스무딩오퍼레이션)으로 대처한다는 방침이다.

재정부 관계자는 "아직 공식적인 구두개입에까지 나서지는 않았지만 외환시장의 불확실성을 주시하고 있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