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적 현상으로까지 비화된 양극화의 골을 메우려면 우선 실질적인 분야에서의 가시적인 성과를 거둬야 한다는 판단에서다. '대·중소 동반성장'을 앞장서 이끌고 있는 곳들이 공기업이다.
지난 달 말 15개 공기업 대표들과 정부는 '2011년도 동반성장 추진계획' 및 '우수사례' 발표를 통해 기관별 대책을 내놓은 바 있다.
이 가운데 지식경제부 소관 공기업들이 적극 나서고 있다. 한국전력공사와 한국석유공사, 한국광물자원공사 등 해외 시장에 진출한 공기업은 협력중소기업과의 동반진출을 적극 지원하고 있다.
한전은 자체적으로 'KEPCO 동반성장위원회'를 구성하고 중소기업의 원가절감에 팔을 걷어부쳤다.
가스공사는 주계약자 공동도급제도 도입과 지역 의무 공동도급제 시행 등을 통해 하도급 관련 제도개선에 적극 나서고 있다.
석유공사는 내부평가지표에 동반성장 실적을 반영하는 한편 '동반성장 추진전담반'을 신설하고 협력사업 발굴 및 사업참여를 확대하고 있다.
한국수력원자력은 지난 2006년부터 자체자금으로 교육·장학지원사업, 지역경제협력사업, 주변환경개선사업 등 사업자지원사업을 활발하게 펼치고 있다.
광물자원공사는 지난해 7개국이던 해외자원개발 투자지원센터에 칠레를 추가하고 해외자원개발 조사사업자 선정시 중소기업 추진 프로젝트에 대한 국고보조금 지급율을 우대하고 있다.
이들 기업들의 동반성장을 향한 의지와 실천은 민간기업들에 대한 모범사례의 바로미터가 된다는 점에서도 주목되는 이유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