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임재천 기자) 국내 최대 식품기업인 CJ제일제당이 쌀 가공 시장에 진출했다.
CJ제일제당은 28일 쌀 제분 기술력이 뛰어난 일본의 전문 제분기업과 기술 제휴를 통해 오는 9월부터 제면·제과·제빵용 쌀가루 생산에 들어간다고 밝혔다.
이를 위해 CJ제일제당은 서울 중구 쌍림동 CJ제일제당 빌딩에서 일본 군마제분 측과 쌀가루 제조 특허 및 노하우 활용에 관한 라이선스 계약을 체결했다.
CJ제일제당의 쌀가루 공장은 경상남도 양산시에 총 면적 2만3600㎡(약 7100평), 연간 1만 3000톤의 쌀가루를 생산할 수 있는 규모로 오는 9월 완공과 동시에 본격적인 생산에 돌입할 예정이다. 쌀가루 생산을 통해 2013년에는 300억원, 2018년에는 2000억원의 매출을 기대하고 있다.
기술 라이선스 계약을 맺는 일본의 군마제분은 지난 1947년 설립되어 60년 이상 밀가루 및 쌀가루 제분을 연구해 온 전문 제분기업이다. 이 회사는 쌀가루와 관련해 전문기술과 독보적인 노하우를 보유하고 있으며, 2005년부터 일본 내에서 품질 높은 면용·빵용 쌀가루를 생산해 쌀 가공식품 시장을 활성화시켰다.
쌀가루를 활용한 쌀 가공식품 시장은 연간 2만 2000톤(약 550억), 떡과 막걸리 등 쌀 자체를 활용한 식품까지 포함한 전체 쌀 가공식품 시장은 연간 22만 톤 규모다.
우리나라는 전체 시장 규모에 비해 쌀가루를 활용한 국수, 과자, 빵 시장규모가 작은 편이다. 쌀은 국수로 만들면 잘 끊기고 빵, 과자로 만들면 잘 부풀지 않고 부슬거리는 등의 단점이 있기 때문이다. 때문에 CJ제일제당은 쌀 가공식품 시장이 커지려면 면·빵·과자로 만들어도 맛과 식감이 좋아야 하는 것이 관건이라고 보고 있다. 53년의 밀 제분 역사를 가진 CJ제일제당이 일본 제분사와 기술협약을 맺은 이유다.
한편 CJ제일제당의 쌀가루 생산으로 국내 쌀 가공식품 시장은 새로운 전기를 맞을 것으로 보인다. 각 식품업체의 쌀 가공식품은 최근 2년 사이 부쩍 늘어나고 있으나 곡물 원료가 많이 들어가는 국수와 빵 과자 제품이 그리 많지 않다. 하지만 최근 우리쌀 원료에 대한 소비자 니즈가 매우 커지고 있기 때문에 맛과 제품력만 받쳐 준다면 더 많은 쌀 가공식품이 나올 것으로 보인다.
CJ제일제당 관계자는 "이번 쌀가공 산업 진출은 쌀 소비가 갈수록 줄고 재고량이 증가하는 사회적 문제를 해결하는 데도 큰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며 "밀가루 수입을 10% 줄이고 이를 쌀로 대체하자는 정부의 R10운동과도 시너지를 발휘해 식량자급율을 개선하는 긍정적인 효과가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