또 정부가 저지하고 있는 환율 하락의 마지노선이기도 하다. 이는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저점인 1100원이 무너지면(원화 강세) 수출의존도가 높은 우리나라는 타격을 받을 수 밖에 없기 때문이다.
지난 2월초 한때 원·달러 환율은 1100원선을 위협받기도 했지만 무너지지는 않았다. 하지만 6일 서울 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은 전일보다 3.4원 내린 1086.8원에 거래를 마쳤다. 당국의 개입 경계감과 최근 환율 급락에 따른 부담감 등이 전반적으로 낙폭을 제한하는 분위기였다.
이 상황에서 정부는 환율시장 개입 시그널을 보내지 않았다. 이렇다 할 위협적인 발언도 없었다. 이처럼 정부가 환율 하락을 마치 용인하는 것처럼 보이는 이유는 무엇보다 물가 상승 압력이 매우 높기 때문이다.
실제로 당분간 원화 환율은 하락세를 보일 가능성이 높다.
미국 경기 개선이 원화에 긍정적 요소로 작용하고 있고 외국인 투자자들의 원화 자산 매수 기조가 환율 하락을 이끌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물가 상승 압력이 계속되면서 원화 절상(원·달러 환율 하락)에 대한 압력은 수그러들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소비자물가상승률이 5%대에 육박하는 등 국제유가 및 원자재 등 수입물가가 물가상승을 부추겼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