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희스타힐스

[3·22대책 1개월] 헛발 정책에 수도권 주택시장 '꽁꽁'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1-04-20 18:26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아파트 거래 급감, 매매가격 약세

(아주경제 유희석 기자) 정부가 '3·22 주택거래 활성화 대책'을 발표한 지 한 달이 지났다. 하지만 수도권 주택 시장은 오히려 침체가 깊어지고 있다. 총부채상환비율(DTI) 규제는 다시 부활됐지만 대안으로 나온 취득세 감면과 민간택지 분양가 상한제 폐지 등 후속조치는 제대로 진행되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오히려 부동산 정책에 대한 불신이 커지면서 거래가 급격히 줄어드는 등 시장은 혼란에 빠지고 있다.

20일 서울시가 운영하는 서울부동산정보광장에 따르면 이달들어 서울지역 아파트 거래량은 506건으로 하루 평균 25.3건에 머물고 있다. 지난달 하루 거래량 113.4건에 비해 4분의 1토막이 난 것이다. 서울시 전체 25개 구 중 거래량이 10건 미만인 곳이 전체의 절반 가량에 달했으며 강북·용산·종로구는 20일간 거래가 5건도 안됐다.

거래가 줄면서 아파트값도 약세를 보이고 있다. 국민은행의 부동산 가격 조사 결과에 따르면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은 지난 11일 기준으로 7주 연속 보합세를 나타냈다. 중랑구와 성북구에서만 소폭의 변동이 있었을 뿐 나머지 23개구는 전혀 움직임을 보이지 않았다.

실제로 서울 강남구 개포동 대치아파트 39㎡는 지난달 1일 4억4500만원에 거래됐으나 이달 5일에는 4억1750만~4억2100만원에 매매계약이 이뤄져 2500만원 가까이 떨어졌다. 서초구 반포동 반포자이 아파트 85㎡도 한 달여 만에 1000만원 가량 떨어진 12억9500만원에 거래됐다.

경기도와 인천시 아파트값도 일부 지역을 제외하고는 계속 보합세를 유지하고 있다.

경매시장의 3대 지표인 낙찰률·낙찰가율·입찰경쟁률도 모두 하락세다. 부동산태인에 따르면 이달(1∼15일) 수도권 아파트 낙찰가율은 82.78%로 3월 평균 낙찰가율 83.47%에 비해 0.69%포인트 떨어졌다. 지난해 나온 8·29 부동산대책 발표이후 이어지던 상승세가 8개월 만에 바뀐 것이다.

닥터아파트 이영진 이사는 "3·22대책으로 DTI 규제가 부활하면서 시장이 바로 위축됐다"며 "대안으로 제시된 취득세 감면, 분양가 상한제 폐지 조치가 빠른시일 내에 시행되지 못한다면 시장의 관망세는 계속 이어질 것"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