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면 아래 가라앚아 있던 '메가뱅크' 화두가 다시 떠오른 것은 강만수 산은금융 회장 겸 산업은행장이 우리금융 민영화 입찰에 참여키로 결정한 것으로 5일 알려졌기 때문이다.
강 회장은 '우리금융 인수만이 산은금융이 살 길’이라며 우리금융 인수에 대한 확고한 의지를 드러내며 구체적인 방법을 마련해온 것으로 전해졌다.
금융당국이 이르면 이달 27일 개최되는 공적자금관리위원회 전체회의에서 우리금융 매각 입찰을 공고할 예정이어서 강 행장의 행보가 더 주목되고 있다.
김석동 금융위원장은 지난 3월 우리금융 민영화 로드맵을 올 상반기에 발표할 것이라고 밝힌 데 이어 지난 4일 전국경제인연합회가 주최한 조찬강연에서도 “정책금융기관 간 통폐합이나 기능재편을 통해 규모를 키우고 효율성을 높이겠다”면서 우리금융 입찰 공고 가능성을 시사했다.
이와 함께 지주회사가 타 지주사 지분을 인수할 때 95% 이상을 사들이도록 한 지주회사법 시행령(5조4)을 완화해 50% 이상 지분 매입을 허용키로 한다면 산은금융은 매각 대상인 우리금융 지분 57% 인수전에도 참여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그러나 산은금융의 우리금융 인수 또는 합병이 쉽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도 많다.
전문가들은 특히 타 금융회사로 피인수를 반대하는 입장을 견지하며 자체 민영화 방안을 추진해왔던 우리금융이 이 같은 외부 인수논의를 선뜻 받아들이지 않을 것으로 보고 있다.
우리금융은 정부 보유 지분에 대한 매각이 이뤄지면 투자자들에게 지분을 사들이도록 권유하며 자체 민영화 방안을 추진할 계획이다.
앞서 우리금융은 작년 투자자들로부터 10조원 가량의 투자금 유치 약속을 받아냈다. 또한 우리금융의 정부 보유 지분에 대한 시장 매각시 투자자들로 하여금 이를 사들이도록 하는 구체적 방안을 세운 우리금융의 입장에서는 아무래도 자체 민영화 성사에 기울 수밖에 없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전문가들은 두 금융이 합병하면 정부 지분이 80%에 달해 실질적인 민영화와 공적자금 회수가 어려워져 바람직한 성과를 거두지 못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기업금융의 중복성과 특혜시비도 합병논의의 걸림돌이다. 더군다나 저축은행과 관련 금융권에 대한 정부 주문이 많아지는 시점인데다 내년 총선과 대선을 앞두고 있는 정부가 굳이 여론악화의 불씨가 될 수도 있는 합병안을 적극 추진할 수 있겠느냐는 것이다.
한편으로는 KB금융의 우리금융 인수 참여 여부도 관심사다.
유보금과 자사주 매각 등으로 5조원 이상의 현금을 동원할 수 있는 KB금융은 특히 산은금융에 앞서 우리금융의 유력 인수 후보로 부각돼 왔다.
다만 어윤대 KB금융 회장이 지난해 그룹 경영정상화 이전에는 인수합병(M&A)을 하지 않겠다고 밝힌 만큼 올해 경영 성과가 인수전 참여의 관건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