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희스타힐스

그리스 추가 지원, 유로존 대출증액 방식 될 듯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1-05-13 19:01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佛재무 "EFSF 재원 사용하지 않을 것 같다"<br/>英재무 "영국, 추가 지원에 참여 생각 안해"

(아주경제 이지은 기자) 크리스틴 라가르드 프랑스 재무장관은 그리스에 대한 추가 지원은 유럽연합(EU) 구제금융 체계를 이용하기보다는 유로존(유로화 사용 17개국) 회원국들과 국제통화기금(IMF)이 지원금액을 늘려주는 방식이 될 것 같다고 밝혔다.

라가르드 장관은 전날 저녁 영국 BBC와의 인터뷰에서 유로존 국가들이 EU 예산에 의존해 금융시장에서 조달된 자금을 사용하는 유럽재정안정기구(EFSF)에서 그리스 지원 재원을 끌어대지 않을 것 같다고 말했다고 블룸버그가 13일(현지시간) 전했다.

그녀는 "현재 고려 중인 방안은 필요시 기존 협정에서 금액을 늘리는 것"이라고 밝혔다.

지난해 5월 그리스를 제외한 유로존 회원국들은 개별적으로 그리스와 협정을 맺고 3년에 걸쳐 총 800억 유로를 대출하기로 했다. 이와 별도로 IMF가 300억 유로를 지원하기로 했다.

이에 따라 라가르드 장관의 발언은 이미 그리스를 지원한 유로존 회원국들과 IMF가 기존 협정을 갱신해 대출금액을 추가하는 방안이 논의되고 있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EFSF는 EU 예산을 가용재원으로 삼고 있기 때문에 이를 재원으로 하는 추가 지원이 이뤄질 경우 이는 27개 EU 회원국 모두가 참여하는 방식이 된다.

조지 오스본 영국 재무장관도 같은 프로그램에서 영국이 그리스 추가 지원에 참여하지 않을 뜻임을 내비쳤다.

오스본 장관은 "유로존 패키지였던 애초의 패키지에 참여하지 않았던 만큼 영국이 (추가 지원에) 관여할 것으로는 생각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앞서 그리스는 내년부터 EFSF에서 발행시장이나 유통시장에서 그리스 국채를 사주는 방안을 요청했음을 시사한 바 있어 그리스 추가 지원 주체를 둘러싸고 EU 내 유로존과 비(非) 유로존 회원국 사이에 논란이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한편, 오스트리아 중앙은행 총재인 노보트니 집행이사는 이날 보도된 오스트리아 일간 크로넨 자이퉁과의 인터뷰에서 "그리스가 (구제금융) 전제조건들을 충분히 이행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민영화 이슈가 가장 민감한 지점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 같은 발언은 EU-IMF-유럽중앙은행(ECB) 공동전문가팀이 내달 예정된 구제금융 차기분 120억유로 승인을 앞두고 그리스가 재정 긴축 프로그램을 제대로 이행했는지를 평가하는 과정에서 나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