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재현장> 뛰는 평창 땅값, 똑똑한 투자자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1-07-08 16:13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아주경제 이정은 기자) 강원도 평창이 3수 끝에 2018년 동계올림픽 개최지로 확정되면서 이 일대 부동산 시장이 들썩이고 있다. 서울은 물론 전국에서 투자자들의 문의 전화가 잇따르는가 하면 매도자들은 팔려고 내놓았던 물건을 거둬들이고 있다.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부동산경기가 침체 늪에서 헤어나지 못하면서 일손을 놓다시피 했던 중개업소들도 모처럼 빗발치는 전화에 정신이 없지만 활기에 차 있다.

경기장이나 선수들이 묵을 선수촌 등 각종 시설이 건설되거나 확장되는 등 그동안 열악했던 생활여건이 크게 나아지고 지역경제도 살아날 것이라는 기대에 부동산 시장도 들썩이고 있는 것이다. 평창 동계올림픽을 위해 수도권에서 강원도 동해안으로 연결되는 고속철도 복선철도와 고속도로 등 사회간접자본시설(SOC) 건설에만 20조원 이상이 투입된다. 산악지대인 이 일대 교통망 개선은 앞으로 관광·레저·문화산업 발전에도 적지 않은 기여를 하게 될 것이다. 물론 일감이 없어 고사 직전인 건설업계에도 '평창 특수'는 단비다.

시계추를 잠시 돌려보자. 서울 올림픽이 열렸던 1988년 서울 땅값은 28.06% 올랐다. 2002년 월드컵 때도 서울 땅값 상승률은 15.81%를 기록했다. 평창을 비롯한 강원지역도 비슷한 과정을 거칠 가능성이 매우 높다. 이미 주경기장이 될 알펜시아리조트 주변 등 일부 지역은 호가가 30% 가까이 뛴 곳도 있다고 한다. 올림픽이 끝나면 부동산 거품이 빠질 가능성이 상대적으로 높다는 것이다. 올림픽이나 월드컵 이후에도 서울 지가상승률은 큰 폭으로 떨어지기도 했다.

강원지역 부동산 시장 열기가 실제 거래로 성사되는 등 들뜬 분위기가 지속될지는 좀 더 지켜봐야 할 것이다. 이미 오를 대로 올랐다고 생각하는 투자자들이 많고 투자에 대해서도 아직도 조심스런 분위기가 감지되고 있기 때문이다. 그 만큼 투자자들이 똑똑해졌다는 의미일 수도 있다. 투자에 대한 최종적인 결정은 투자자 개인의 몫이다. 다만 투기가 아닌 건전한 투자자본 유입을 통해 지역경제 활성화를 도모할 수 있도록 분위기와 기반을 만드는 것은 정부의 역할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