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 실장은 이날 취임 1주년 오찬간담회를 갖고 이같이 밝힌 뒤 “이는 합법을 가장한 지하 경제로, 어찌 보면 이러한 일감 몰아주기는 변칙 부당 거래”라고 지적했다.
임 실장은 이어 “세법의 대원칙은 소득이 있으면 실질 과세를 하는 것”이라며 “그렇다면 MRO도 납세를 하게 할 수 있을 것이다. MRO에는 왜 과세를 못하느냐”고 반문했다.
그는 또 “출자총액제한제도를 (대기업 규제 완화 차원에서) 풀었는데 이런 것 하라고 푼 게 아니다”며 “건강한 산업 생태계를 만들도록 노력할 것”이라며 대기업의 인식 전환을 촉구했다.
이는 대기업의 MRO 자회사에 상속세와 증여세 등을 철저히 물리겠다는 의지의 드러낸 것으로 풀이된다.
임 실장은 내년 총선에 출마할 현직 장관들의 교체에 대해 “정병국 문화체육관광, 진수희 보건복지 장관의 경우 정기국회 이전에 교체할지, 이후에 할지 모르겠다”며 “후임은 전문성이 가장 중요하고 국회에서 (의원이) 온다면 다음 총선 출마는 안 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개각 시기와 관련, “8월초 저축은행 국회 청문회가 있으니 그게 지나고 나서 하겠다”고 말했다.
이밖에 임 실장은 최근 김효재 정무수석, 김두우 홍보수석, 장다사로 기획관리실장과 함께 이 대통령을 만나 “큰 틀에서 국민 화합을 하면서 설득하고 함께 가는 행보를 하자”고 건의했다고 전했다.
한편 임 실장은 “뭉치면 된다는 분위기가 조성됐다. 하나 된 국민이면 무엇이든 할 수 있다”며 “평창동계올림픽을 유치했듯 큰 걸음으로 국민과 함께하는 행보를 ‘동반화합의 큰 행보’로 명명했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