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히 유럽 재정위기 등 대외적인 불확실성이 높아지면서 비상시 외화자금 조달계획도 마련토록 했다.
금융위원회는 ‘금융기관 외화유동성 특별점검 태스크포스(TF)’에 참여한 12개 은행에 대해 위기가 발생할 경우 외화자금을 조달할 수 있는 비상계획을 제출토록 했다고 26일 밝혔다.
김석동 금융위원장도 직접 나서 은행들의 외화유동성 상황을 챙기고 있다.
김 위원장은 전날 간부회의에서 “은행들의 외화유동성 확보를 각별히 챙기라”고 주문했다. 지난 23일에는 “올해는 외화건전성 문제를 첫번째로 살피겠다”고 밝혔다.
금융당국이 외화유동성 문제에 집중하고 있는 것은 외환 부문에서 위기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기 때문이다.
최근 유럽과 미국 등 선진국 재정위기가 심화하고 있는 데다 국내적으로 가계부채 문제까지 겹치면서 외환 부문에 대한 불확실성이 커지고 있는 점을 반영한 것이다.
과거 외화유동성 위기를 겪었던 경험도 금융당국이 선제적 대응에 나선 배경으로 꼽힌다.
우리나라는 1997년 외환위기, 2003년 SK글로벌 분식회계 사태와 제2차 북핵 사태,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 단기외채 급증과 외화자금 부족 등의 후폭풍을 겪은 바 있다.
급격히 유입된 외채는 상황 변화에 따라 언제든지 빠져나갈 수 있어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
실제로 금융위기가 발생하자 2008년 6월부터 2009년 3월까지 346억 달러의 외화가 순식간에 빠져나갔다가 위기가 잦아들자 지난 4월까지 987억 달러가 다시 유입되는 등 외환 부문의 변동성이 커지고 있다.
김 위원장은 지난 21일 기자단 세미나에서 “앞으로 일어날 수 있는 사태에 대비하는 것이 아주 중요하다”며 “우리나라의 큰 시스템 위기에 맞서기 위해 외화부채를 살펴보겠다”고 강조한 바 있다.
금융당국 관계자는 “우리나라 외환보유액이 3000억 달러를 넘어섰지만 실제 위기가 닥치면 언제든지 외화가 부족해질 수 있다”며 “대외 상황 변화에 맞춰 수시로 TF 회의를 소집해 대책을 세우겠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