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희스타힐스

美 디폴트 '시한폭탄'…시장은 '속수무책'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1-07-26 14:39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미국 디폴트 가능성 과소평가…월가, '플랜B' 없어<br/>미 국채 매수·매입 등 의견 갈려…월가 '노심초사'

(아주경제 김신회 기자) 미국의 채무불이행(디폴트) 시한이 일주일 앞으로 다가오면서 월가의 긴장감이 절정으로 치닫고 있다. 일부 기관투자자들은 미 국채 투자 비중을 줄이며 최악의 상황에 대비하고 있지만, 대다수 투자자들은 '플랜B(비상대책)'를 마련하지 못해 발만 구르고 있다고 로이터가 25일(현지시간) 보도했다.

그렇다고 만약의 사태에 대비해 헤징(위험회피)에 나선 투자자들이 마음을 놓을 수 있는 것은 아니다. 미국의 디폴트 리스크는 그리스를 비롯한 유럽 재정불량국들처럼 실질적인 지불능력의 문제가 아니라 정치적 갈등에서 비롯된 것이기 때문이다. 미 의회가 극적으로 디폴트 시한인 8월2일까지 연방정부의 부채한도를 증액하면, 헤징에 따른 대규모 손실이 불가피하다.

그럼에도 로이터는 대부분의 투자자들은 미국의 디폴트 가능성에 무방비로 노출돼 있다고 지적했다. 월가에서 미국의 디폴트 리스크를 얼마나 가볍게 여겼는지는 뱅크오브아메리카(BOA)가 이달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에서 여실히 드러났다.

최근 1주일 10년 만기 미 국채 수익률 추이(단위: %/출처: WSJ)
BOA는 최근 월가 펀드매니저들을 상대로 한 설문조사를 통해 '꼬리 리스크(tail risk)' 순위를 매겼는데, 미국의 디폴트는 상위 5위권에도 들지 못햇다. 꼬리 리스크는 가능성은 낮지만, 현실화하면 큰 영향을 미치는 위험을 일컫는다. 로이터는 1년 만기 미 국채의 수익률이 이날 0.17%로 사상 최저 수준을 기록한 것도 이런 시장의 분위기를 반영하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스위스 은행인 사라신의 알레산드로 비 채권 투자전략가는 "대다수 투자자들 사이에서는 미 의회가 (시한 내에) 부채협상에서 합의를 이룰 것이라는 게 주된 시나리오였다"며 "때문에 투자자들은 현재 무방비 상태로, 지금 당장 미국의 디폴트라는 꼬리 리스크에 대비하기는 어렵다"고 말했다. 그는 "미국의 디폴트에 대비하는 것은 핵폭발에 대비하는 것과 같다"고 덧붙였다.

사라신에 따르면 가계와 연금펀드, 머니마켓펀드(MMF)의 투자 포트폴리오 가운데 미 국채와 연관된 자산은 1조8000억 달러로 전체의 20%에 달한다.

문제는 대책을 마련하려 해도 마땅한 대안이 없는 게 현실이라고 로이터는 지적했다. 연금펀드와 MMF는 규제 때문에 미 국채와 같은 '트리플A(AAA)' 등급 자산에만 투자해야 하는데, 디폴트 사태로 미국의 국가 신용등급이 강등될 경우 연쇄효과로 미국에서는 더 이상 트리플A 등급의 투자처가 존재하지 않게 된다는 설명이다.

월스트리트저널(WSJ)도 미국의 디폴트가 현실화할 가능성이 커지고 있지만, 월가에서는 논란만 일고 있을 뿐 어찌할 바를 몰라 노심초사하고 있다고 전했다. 최근까지 백악관과 의회의 부채한도 증액 협상이 난항을 거듭했지만, 유럽 재정위기에 대한 우려가 '안전자산'인 미 국채 수요로 이어져 시장에서는 미국의 디폴트에 따른 리스크를 과소평가했다는 설명이다.

WSJ는 특히 미 국채에 대한 투자 의견이 엇갈리고 있다고 지적했다. 디폴트 위기로 미국의 '트리플A(AAA)' 신용등급이 위태로운 만큼 미 국채를 투매해야 한다는 주장과 유동성이나 거래 규모 면에서 미 국채만한 투자처가 없고, 가격이 내리면 절호의 투자 기회가 될 수 있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다는 설명이다.

이에 대해 자렛 사이버그 MF글로벌 정책 애널리스트는 "(금융위기가 불거진) 2008년 가을을 경험한 이들이라면 누구나 금융시스템이 기대만큼 튼튼하지 않다는 사실을 알아챘을 것"이라며 "그런데도 사람들은 아직도 미국이 트리플A 등급을 잃게 되면 무슨 일이 벌어질지 모르는 것 같다"고 말했다.

그는 "미국의 신용등급이 떨어질 경우 미 국채를 담보로 쓰는 주택담보대출(모기지)시장과 지방채시장 등 전방위로 확산될 충격이 우려스럽다"고 강조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