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재정부는 3일 ‘지역혁신 클러스터 성공요인 및 시사점’이라는 보고서를 통해 “여러 부처·부서에 걸쳐 추진되고 있는 유사사업에 대한 조정이 필요하다”며 이같이 밝혔다.
지역혁신 클러스터사업은 수도권 집중을 완화하고 지역경제 발전을 위한 취지로 시행됐다. 1999~2010년까지 11년 간 총 3조8000억원 가량을 투입했다.
재정부는 우선 9개 지자체가 지역전략산업으로 바이오를 선정, 6개 지자체가 전자·정보통신을 선정해 특정산업 집중돼 있다고 지적했다.
또 소관부처별로 지역전략산업을 분산적으로 지원해 부처 간 유기적인 패키지 지원체계를 이룩하지 못한 점도 꼽았다.
이에 재정부는 “여러 부처 또는 부처 내 여러 부서에 걸쳐 추진되는 유사사업에 대한 종합·조정이 중요하다”며 “지역발전위원회 또는 지식경제부의 콘트롤타워 기능을 강화하고 부처 간 연계협력 시스템을 구축하라”고 권고했다.
한편 재정부는 이날 연세대 원주캠퍼스와 지자체 스스로 의료기기분야의 자생력을 키운 원주클러스터와 정치권, 중앙정부의 지원을 바탕으로 산학연 연계협력을 강화한 광주클러스터를 우수사례로 소개했다.
재정부에 따르면 원주시는 군사도시란 이미지를 벗고 지역산업을 활성화할 발전모형을 모색하고 있다. 의공학 전공을 최초로 개설한 연세대 원주캠퍼스는 수도권 대학에 의공학이 개설되면서 위기의식을 느끼게 됐다.
1998년에 원주시와 연세대 의공학연구소를 중심으로 의료기기 창업보육센터가 설치됐고 산업단지가 조성되면서 의료기기업체가 입주하기 시작했다.
정부의 혁신클러스터 시범단지로 지정을 발판으로 원주 의료기기 산업은 도약해 2005년 634억원이던 의료기기 산업 매출액이 지난해 3765억원으로 6배가량으로 증가하게 됐다고 평가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