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일 업계에 따르면 농가 대표인 낙농육우협회와 유업체 대표인 낙농진흥회의 13차례에 걸친 원유가격 인상 협상이 결국 타협점을 찾지 못하고 '결렬'을 선언했다.
당초 ℓ당 173원 인상을 요구했던 낙농농가들은 ℓ당 145원까지 물러났고, ℓ당 81원 인상을 주장했던 우유업체도 정부 중재안을 받아들여 '130+8원 인상'을 수용하겠다고 밝혔다.
'130+8원 인상'은 원유 가격을 기본적으로 ℓ당 130원 인상하고, 체세포수 등급에 따라 제공하는 인센티브가격을 인상해 추가로 ℓ당 8원의 인상효과를 내도록 하겠다는 것이다.
하지만 양측 모두 '7원의 차이'를 극복하지 못하고 초강수로 맞선 탓에 협상이 결렬된 것이다.
협상 결렬 소식을 접한 유업계측 분위기는 의외로 차분했다.
일부 유업체에서는 협상이 결렬됐지만 우려했던 '우유 대란'은 없을 것이라고 밝히기도 했다.
서울우유를 비롯해 매일유업·남양유업 등은 협상과 관계 없이, 현재 평소 집유량의 80% 가까이를 농가로부터 받고 있기 때문이다.
유업체 관계자는 "서울우유·매일유업·남양유업 등 대부분 유업체들은 12일 오전부터 농가들로부터 집유하고 있다"며 "일부 업체의 경우, 평소의 80% 수준까지 도달한 것으로 알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또 "농가들이 보유한 냉각기의 저유량이 한계에 도달해 농민들도 더 이상 견딜 힘이 없어진 것 같다"고 덧붙였다.
또 다른 유업체 관계자 역시 "이런 상태라면 평소 수준으로 집유가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며 "협상이 결렬됐다고 해서 우려했던 우유 대란은 발생하지 않을 것이다"고 말했다.
이번 사태를 겪으면서 원유를 제공하고 있는 낙농가들은 '선조치 후보상'이라는 합리적인 선택을 했다.
즉, 우유를 폐기 처분하면 당장 생계가 곤란하기 때문에 일단 납유는 하지만 납유된 원유 가격은 향후 낙농육우협회와 낙농진흥회의 협상 결과를 본 후 소급적용 받겠다고 밝혔기 때문이다.
한편 일부 유업체들은 "낙농가들이 주장했던 704원은 최저가"라며 "대부분 유업체들은 지방함유량과 등급에 따라 850원대의 가격을 지불하고 있다"고 뒤늦게 밝히기도 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