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원표 삼성전자 무선사업부 부사장은 24일 서울 서초동 삼성전자 사옥에서 열린 수요 사장단 회의에서 '스마트폰 혁명과 우리의 과제' 주제발표를 통해 이같은 전략을 밝혔다.
이날 발표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전체 휴대전화 13억6000만대 중 스마트폰 비중은 3억대(22%)이었으나 올해는 15억5000만대 중 4억2000만대(27%)로 5%포인트 높아졌다. 금액 기준으로는 지난해 총 1830억 달러 중 990억 달러(54%)에서 올해는 2000억 달러 중 1270억 달러(64%)로 증가했다.
시장별로 지난해 1분기와 올 1분기를 비교하면 우리나라의 경우 판매량 기준으로 16%에서 72%로 급증했다. 북미는 같은 기간 31%→49%, 유럽 29%→49%, 아시아·태평양 16%→25%, 중남미 12%→16%, 중동·아시아 10%→14%로 각각 늘었다.
이에 따라 삼성전자는 신흥시장의 스마트폰 성장 가능성에 주목하고 해당 지역을 적극 공략할 예정이다.
홍 사장은 “신흥시장에서는 스마트폰 비중이 상대적으로 적어 성장 여력이 높고 200달러 이하의 매스폰(대중폰) 시장이 본격적으로 형성되고 있다”며 “매스폰 비중이 지난해 16%에서 2015년 51%로 절반을 넘어설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는 특히 △스마트폰 보편화 △클라우드 서비스 강화 경쟁 치열 △운영체제(OS) 헤게모니 경쟁 심화 △특허 전쟁을 통해 경쟁사 견제 등 IT 환경이 급변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하지만 삼성전자는 자신감을 숨기지 않았다. 홍 사장은 “휴대전화 분야에서 삼성전자는 선진시장에서의 스마트 디바이스 일류화, 신흥시장에서의 리더십 강화를 통해 글로벌 1위에 도전하겠다”고 선언했다.
그는 이어 “스마트폰에서도 글로벌 리더가 되기 위해 프리미엄 시장의 지배력을 강화하고 신흥시장에서는 매스폰 중심으로 공략하는 한편 애플 판매량의 80% 수준인 미국시장에서 격차를 축소하겠다”고 덧붙였다.
또 급성장하고 있는 태블릿 사업도 조기 확대해 올해 물량 기준으로 5배 성장하겠다고 설명했다.
홍 사장은 “삼성은 그동안 이노베이션과 스피드, 챌린지를 바탕으로 지금까지 ‘패스트 팔로어’ 전략을 취해온 측면도 있는데 지금부터는 ‘퍼스트 무버’로 가겠다”며 자신감을 숨기지 않았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