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일 대한모발학회는 국내 13개 대학병원에서 탈모환자 1220명을 대상으로 탈모 유형과 가족력의 상관관계를 연구한 결과, 가족력의 영향을 받지 않은 여성·남성이 각각 47.9%, 41.8%로 조사됐다고 밝혔다.
남성환자의 탈모와 가족력의 상관관계를 살펴보면 부(父)계 영향이 47.1%로 가족력 없음과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30세 이전에 탈모가 시작되는 환자의 가족력 상관관계를 조사한 결과 가족력이 없는 경우와 아버지 쪽의 영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가족력이 없음에도 조기탈모가 나타난 경우는 31.5%로 아버지 쪽 영향(30.4%)과 비슷한 수준을 나타냈다. 어머니 쪽은 조기탈모 발생과 연관이 적었다.
이원수 학회 총무이사(원주기독병원 피부과 교수)는 “탈모가 유전에 절대적인 영향을 받는 질환이라고 알려져 있으나 이번 연구 결과는 가족력이 없어도 탈모가 나타날 수 있음을 보여준다”며 “가족 중에 탈모환자가 없다고 안심할 수 없으며 탈모를 유발할 수 있는 환경에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