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김경환 연세대 교수 |
교육과학기술부는 연세대 의과대학 김경환·이민구 교수팀이 세포막 단백질이 ‘단백품질검사(ER Quality Control)’를 거치지 않고 세포막에 도달하는 길과 이 경로를 활성화하는 단백질을 찾았다고 4일 밝혔다.
선천성 난청은 ‘펜드린’ 단백질, 호흡기점액과 소화액 분비 이상을 가져오는 낭포성 섬유증에 따른 것이다.
낭포성 섬유증은 ‘CFTR’ 단백질의 유전자 돌연변이 때문에 나타나며 정상인 경우 이 두 단백질은 모두 세포막 속에서 제 역할을 한다.
유전자 돌연변이로 결함이 생긴 이들 세포막 단백질은 세포내 소포체(ER)에서 만들어지자마자 이른바 ‘단백품질검사’ 과정을 거치며 원래 자리인 세포막으로 보내지지 않고 세포 안에서 분해되고 만다.
그러나 단백질에 약간의 변이가 있더라도, 이 단백질은 세포막에 이르기만 하면 대부분 원래 기능을 회복해 제대로 작동할 수 있다.
교과부와 한국연구재단의 선도연구센터(SRC) 중견연구자지원 사업의 하나로 진행된 이 연구의 결과는 생명과학분야 권위지인 ‘셀(Cell)’에 실렸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