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일 박주선 최고위원은 “대체 이런 추태가 어디 있나. 공개적으로 갈등이나 불만을 표출하는 건 자제하고, 문제가 있다면 내부적으로 해결하려는 모습을 보여야 한다”고 말했다.
정장선 사무총장은 “정권교체의 기회가 다가올수록 낮은 자세로 국민에게 다가가야 하는데 반대로 가고 있다”며 “지도부가 충돌하는 모습을 보며 국민이 혼란스러워 한다. 지도부는 자제해야 한다”고 가세했다.
10ㆍ26 서울시장을 앞두고 기성 정치에 대한 `혐오증‘으로 무소속 신드롬이 일어나고 있는데 아직도 정신을 차리지 못했다는 비판도 이어졌다.
김영춘 최고위원은 “기존 정치에 대한 실망이 커져 정치권 바깥에 있는 인물에 대한 기대가 높아지고 있다”며 “지금처럼 당을 먼저 생각하지 않고 개인의 욕심을 앞세우면 정당의 위기는 계속될 것”이라고 말했다.
장세환 의원 역시 “`안철수-박원순 신드롬’은 기성 정치에 대한 불신에서 비롯된 것인데 지도부의 현실 인식이 부족하다”며 “손 대표는 욕심을 부리고 천 최고위원은 발끈하며 정 최고위원은 거들어 충돌이 격화된다”고 싸잡아 비판했다.
중진 의원들은 갈등을 심화시키고 있는 현재의 계파구도를 타파해야 한다고 한목소리를 냈다.
이석현 의원은 “가장 큰 문제는 패거리 정치다. 패거리 정치 때문에 당이 이성을 잃는 경우가 많다”며 “모두 자성을 하고, 계파를 초월해 단합하는 모습을 보여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박지원 의원 역시 “파벌이 아니라 국민을 보고 정치를 해야 한다”며 “민주당이 총선승리와 정권교체를 내세우면서도 내분에 휩싸여 아무런 준비를 하지 않는다면 국민으로부터 선택받지 못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