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악성’ 준공 후 미분양, 전체 미분양 절반 넘어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1-09-06 17:20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2007년 14%서 2011년 54% 급증

(아주경제 이명철 기자) ‘악성 미분양’, ‘불 꺼진 집’으로도 불리는 준공 후 미분양의 비중이 급증해 전체 미분양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6일 부동산정보업체 부동산써브에 따르면 2007년 7월부터 올해 7월까지 전국 미분양 아파트 현황을 분석한 결과 전체 미분양 중 준공 후 미분양 아파트 비율은 2007년 14.52%에서 2009년 36.93%, 2011년 54.34%로 상승했다.

전국 미분양 아파트는 분양가 상한제 시행 전 밀어내기 식 공급으로 2008년 7월 16만595가구까지 치솟기도 했다. 그러나 이후 공급물량 감소와 지방 부동산시장 활성화 등으로 올해 7월 7만87가구까지 줄었다.

그러나 준공 후 미분양의 비중은 갈수록 증가하고 있다. 이는 수요자들이 미분양 매입 시 이미 지어진 집보다는 일반 미분양에 몰리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지역별 준공 후 미분양 비율은 서울이 49.18%로 가장 높고 경기도 40.86%, 인천 13.34% 순이었다. 수도권 전체 비율은 2008년 7월 6.11%에서 2009년 7월 10.49%, 2010년 7월 22.24%, 2011년 7월 37.52%를 기록했다.

준공 후 미분양 물량이 가장 많은 곳은 경기도 용인시로 3348가구 준공 이후에도 주인을 찾지 못하고 있다. 이어 고양시도 2312가구가 적체된 것으로 조사됐다. 서울에서는 강동구가 206가구로 가장 많았다.

지방은 2007년 7월 13.69%였던 준공 후 미분양 비율이 2008년 7월 28.45%, 2010년 56.47%에서 2011년 7월 64.5%로 수도권보다 더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중 대구가 7481가구로 가장 많고 지방 분양시장 훈풍 진원지였던 울산(3477가구)과 부산(1015가구)에도 1000가구 넘는 준공 후 미분양이 쌓여 있었다. 기타 지역에는 충남(4240가구), 경북(3342가구), 강원(2407가구), 경남(2018가구), 충북(1498가구), 전남(1152가구), 전북(628가구) 등 순이었다.

공사가 완료됐으나 분양되지 않은 아파트는 건설사가 공사대금을 회수하지 못했을 뿐만 아니라 유지관리 비용이 추가로 들어가 자금 부담이 크다고 전문가들은 설명했다.

부동산써브 관계자는 “수요자들이 준공 후 미분양을 매입할 경우 단기간에 큰 금액을 마련해야 하는 단점이 크다”며 “빈집으로 방치된 상태가 장기화되면 지역 내 인식도 악화되고 악성 미분양이라는 꼬리표가 붙을 우려가 있다”고 지적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