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테로이드는 염증과 알레르기를 억제하는 효과 때문에 쓰임새가 많은 약물이지만 장기간 다량으로 사용할 경우 골다공증이나 골절·녹내장·백내장 같은 노인성 질환과 유아의 성장지연 등의 부작용이 발생한다.
20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한나라당 원희목 의원이 건강보험심사평가원로부터 제출받아 분석한 의료기관종별 스테로이드 청구 현황에 따르면 지난 4년간(2007~2010년) 상급종합병원급은 1인당 2.1건, 종합병원급은 1.6건, 병원급은 1.5건 처방한 반면, 의원급은 1인당 2.7건 처방했다.
특히 의원급 의료기관의 스테로이드 처방 행태에 대해 지난해 상위10개 기관을 분석한 결과, 상급종합병원 중 스테로이드를 가장 자주 처방하는 기관은 1인당 2.9건인 반면 의원급은 1인당 13.1건으로 약4.5배 많았다.
상위 10개 기관 평균으로 살펴봐도 상급종합병원은 1인당 2.6건, 종합병원은 2.3건, 병원은 2.5건으로 나타났지만, 의원급은 1인당 8.3건으로 나타나 상급종합병원에 비해 약 3배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의원급 의료기관의 스테로이드 처방 행태는 10세 미만의 아동과 60세 이상의 노인에게 집중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급종합병원의 경우 10세 미만의 아동(1.5건)과 60세 이상의 노인(2.3건)에 대한 스테로이드 처방이 10~60세의 연령층(2.2건)과 비교해 더 적게 처방되거나 비슷하게 처방되고 있었다.
그러나 의원급의 경우 10세~60세의 연령층(2.5건)에 비해 아동(3.0건)과 노인(3.9건)에게 더 자주 처방됐다.
60세 이상 노인에 대한 스테로이드 처방도 상급종합병원은 2007년 1인당 2.2건에서 지난해 2.3건, 종합병원은 1.9건→1.9건, 병원은 1.7건→1.8건으로 증가폭이 작은 반면, 의원급 의료기관은 2007년 3.1건에서 3.9건으로 다른 기관들에 비해 증가폭이 상당히 큰 것으로 나타났다.
원 의원은 “심평원은 스테로이드 처방 현황에 대해 지속적으로 모니터링을 실시해 의료기관 종별로 스테로이드 처방의 차이를 줄일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