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 국토해양위 소속 한나라당 차명진 의원은 27일 국토해양부 국정감사에서 국토부가 GTX 사업추진 방식을 정부고시사업으로 추진한다는 내부방침을 정한 것으로 알려졌다고 주장했다.
차 의원에 따르면 국토부는 지난 2009년 6월부터 1년 6개월간 한국교통연구원에 GTX 사업 예비타당성 조사 영역을 의뢰했지만, 지난 7월 기획재정부에 예비타당성조사를 다시 신청했다.
이는 국토부가 기존 민간제안사업에서 정부고시사업으로 추진방식을 전환한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차 의원은 풀이했다.
GTX사업이 민간제안사업으로 추진되면 적격성 심사와 제3자 공고, 우선협상대상자 선정을 거쳐 오는 2013년 3월 착공이 가능했다고 차 의원은 전했다.
그러나 정부고시사업으로 변경될 경우 예비타당성조사를 다시 거쳐야 해 계획보다 20개월 늦은 2014년 12월경 착공이 가능할 전망이다.
차 의원은 경기도 분석자료에 의하면 GTX 사업이 2년 가량 지연되면 사회경제적 교통비용과 사회경제적 편익을 따져볼 때 약 3조6000억원의 손실을 유발시킨다고 지적했다.
차 의원은 “지난 4월 GTX 사업추진이 명시된 상황에서 갑자기 사업추진 방식을 바꾸려는 의도를 이해할 수 없다”며 “이는 GTX 조속추진을 간절히 원하는 경기도민에 큰 상처를 주는 행위이고 엄청난 세금을 낭비하는 몰염치한 행정”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