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중경 지경부 장관이 주재한 이번 간담회는 실물경제 동향과 기업 애로사항을 점검하고 대응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된 것으로 자동차·철강 등 9대 업종별 협회와 중소기업 대표, 중소기업진흥공단, 코트라(KOTRA) 등 지원기관 대표 등이 참석했다.
이날 간담회에서 중소기업진흥공단은 중소기업의 경영안정을 위해 하반기 정책자금 1450억 원을 증액했으며, 내달부터 내년도 정책자금의 조기 집행을 위한 준비에 본격 돌입하겠다고 밝혔다.
회의에 참석한 업종별 협회장들은 현재까지 세계 경기불안에 따른 직접적인 영향은 크지 않으나 앞으로 전자와 반도체, 조선 등은 선진국의 소비심리가 위축되면서 시장이 축소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내다봤다.
또 철강과 석유, 화학, 디스플레이 등은 원자재 가격 불안 등에 영향을 받을 가능성이 커 상황을 예의 주시할 필요가 있다고 분석했으며, 자동차, 일반기계, 섬유 등은 호조세를 이어갈 것으로 전망했다.
업계는 해양플랜트 분야의 핵심 원천기술, 반도체 산업 장비 국산화, 차세대 디스플레이 개발 등 연구개발(R&D) 지원 강화와 병역특례 및 외국인 고용인력 확대 등 중소기업의 인력수급 지원을 요청했다.
이와 함께 수출시장을 안정적으로 확보하기 위해 신흥국과의 자유무역협정(FTA) 체결, 한-미 FTA의 조속한 비준 등을 건의했다.
최 장관은 “최근 경제상황에 대해 긴장감은 갖되 지나친 불안심리가 확산하지 않도록 현장에서의 올바른 경제상황 인식과 대응이 중요하다”며 “잠재적 불안요인이 존재하는 상황에서 경기둔화 가능성에 대비하고 기회 발생 시 즉각 활용할 수 있도록 정부와 업계, 관련기관이 긴밀히 협력하자”고 당부했다.
지경부는 이번 간담회를 시작으로 ‘실물경제 동향점검 태스크포스(TF)’를 수시로 운영하면서 무역, 투자, 생산, 내수 등 실물경제 전반을 철저히 점검하고 대응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