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뜩이나 내국인들이 기피하는 제조업 노동 시장에 외국인 근로자 공급까지 정부가 정해놓는 바람에 중소기업 인력난은 심화되고 있기 때문이다.
쿼터를 늘리는 등 좀더 실효성있는 방안이 필요하다는 것이 업계의 지적이다.
4일 중소기업중앙회에 따르면, 300개 중소 제조업체 중 38%가 인력 부족을 호소하는 실정이다. 특히 20인 미만 기업의 40.5%가 인력난으로 경영 위기까지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내국인 구직자들이 중소기업에서는 좀체 일하려고 하지 않기 때문이다. 실제로 중소기업들이 채용에 어려움을 겪는 이유로 ‘중소기업에 대한 낮은 인식으로 구직자들이 취업을 기피’(44.7%)한다는 응답이 절반 가까이 차지했다.
업계에서는 내국인들의 중소기업 기피로 인력을 제때 고용할 수 없는 상황인 만큼 외국인 쿼터를 늘리는 등 외국인 고용정책이 좀더 실효성 있는 방향으로 추진돼야 한다고 입을 모은다.
경기도 김포시에서 중소기업을 운영하는 김 모씨는 “현장에서는 인력이 부족해 공장문을 닫을 지경으로 내몰리고 있다”며 “상황이 이런데도 외국인 인력조차 고용하기 어려운 현실을 정책당국자들이 감안했으면 좋겠다”고 한탄했다.
하지만 고용부는 외국인력에 대한 기업의 수요만으로 쿼터를 늘릴 수 있는 사안은 아니라는 입장이다.
글로벌 재정위기가 장기화되면서 국내 경기도 하강국면이 우려되는 상황에서 일부 기업들과 내국인 구직자가 오히려 피해를 입을 수 있다는 설명이다.
또 애초에 외국인력 쿼터제가 중소기업들의 인력난을 ‘완화’시키기 위한 것이었지 100%해결방안으로 봐서는 안 된다는 입장이다.
고용부 외국인력정책과 관계자는 “중소기업의 인력난이 심각하긴 하지만 그들의 요구만 충족시킬 순 없다”며 “기업 자체로도 보상체계를 마련해 내국인을 끌어들일 수 있는 자체적인 전략이 필요한 상황”이라고 말했다.
한편 업계에서는 인력난을 해소하기 위해 ▲고용시 보조금 및 세제지원 강화 ▲근로환경 및 복지개선 지원 ▲규제완화 및 투자활성화 지원 ▲구직자와 구인업체간 취업연계인프라 강화 ▲중소기업에 대한 인식개선 노력 등의 대책마련이 필요하다는 의견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