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일 민주당 전현희 의원은 정부가 현재 8종의 국가 필수예방접종 중 민간 병원에서의 본인부담금이 1만5000원 내외라고 하지만 실제 현장에는 더 많은 비용이 소요되고 있다며 이 같이 주장했다.
이 대통령은 대선 당시 영유아 필수예방접종비를 모두 국비로 지원하겠다는 공약을 제시했다.
현재 필수예방접종으로 지정된 백신은 △결핵(BCG,내피용)△B형간염 △DTaP(디프테리아·파상풍·백일해) △일본뇌염 △수두 △폴리오(IPV) △MMR(홍역·유행성이하선염·풍진) △Td(파상풍·디프테리아) 총 8가지다.
서울YMCA가 실시한 예방접종비용 관련 조사에 따르면 같은 서울시민이여도 구별로 접종 부담금액이 다르다.
생후 12개월까지 민간 지정 병원에서 8종의 필수예방접종을 할 경우 강남구 주민은 전액 무료인 반면 은평구 주민은 24만8000원을 부담해야 한다.
민간 병원별로도 접종비에 차이가 있다.
국가에서 지정한 필수는 아니지만 엄마들 사이에서는 필수로 불리는 소위 ‘선택 3종 세트’인 뇌수막염, 로타바이러스, 폐구균 백신 접종도 가계 부담을 늘리고 있다.
이들 백신은 한번 접종 시 적게는 4만원, 많게는 15만원 이상의 비용이 발생한다.
전 의원은 “이 대통령이 영유아의 건강에 필수적인 예방접종비용 전액 국비부담이라는 약속을 아직까지 지키지 않고 예산타령만 하는 것은 국민과의 약속을 가볍게 여기고, 아이들 건강을 소홀히 하는 것과 다를 바 없다”고 지적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