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는 “금년도 9월말 까지 도 소비자정보센터에 접수된 소비자상담 실적을 분석한 결과, 총 상담건수가 6832건으로 작년 같은 기간 3878건에 비해 76% 늘어났다”고 24일 밝혔다.
이처럼 소비자 상담건수가 증가한 건 전자통신 발달로 전자 상거래나 텔레마케팅 등 특수거래 형태의 구매 증가에 따른 불만이 늘어났고, 소비자 권익에 대한 인식이 개선된 것으로 풀이된다.
상담유형별로는 [품질, AS] 상담이 1,745건(25.5%)로 가장 많았고, [계약해지] 1,363건(20.0%), [사업자 부당행위] 563건(8.2%), [계약불이행] 511건(7.5%) 등의 순이었다.
품목별로는 [의류 및 신변용품]이 802건(11.7%)로 가장 많았고, [정보통신서비스] 684건(10.0%), [정보통신기기] 558건(8.2%), [문화오락서비스] 459건(6.7%) 등이 그 뒤를 이은 것으로 조사됐다.
한편 신낭현 경기도 경제정책과장은 “이번 분석결과를 토대로 급증하는 소비자 상담수요에 대비해 상담센터의 기능을 강화해 나가고, 소비자 피해가 많은 특수거래 피해예방을 위한 사업자 관리 감독 및 소비자 교육도 병행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