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장비용 24만6460원..'양념값 > 배추값'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1-10-31 09:33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아주경제 홍성환 기자) 올해 김장비용이 배추ㆍ무 등 주재료 가격은 50% 넘게 떨어졌지만 고춧가루와 새우젓 등 양념값은 폭등하면서 배추파동을 겪은 작년보다 8% 남짓 하락한 나타났다.

이마트가 31일 2010~2011년 김장 비용을 비교한 결과에 따르면 올해 4인 가족이 배추 20포기와 무 10개로 김치를 담갔을 때 비용은 24만6460원으로 작년 27만188원보다 8.8% 감소했다.

이는 배추·무 등 주재료 값은 절반 이상 크게 줄어든 데 반해 마른고추ㆍ새우젓ㆍ소금 등 부재료 가격은 급등했기 때문이라는 분석이다.

작년 배추 파동으로 배추와 무 등 김장 주재료 비중이 44%를 차지했지만 올해에는 22%로 절반 수준으로 떨어졌다.

반면 마른고추ㆍ새우젓ㆍ소금 등 양념값은 올해 19만3060원으로 전체 비용에서 78%를 차지하며 작년 56%보다 22%포인트 증가했다.

특히 새우젓은 2㎏ 기준 작년 1만1000원이던 값이 올해 2만5920원으로 135.6% 상승했다. 고춧가루도 작년 5만400원에서 9만5040원으로 88.6% 커졌다.

배추값은 김장철에도 계속 하락세를 이어갈 전망이다.

작년 배추값이 크게 상승하자 농가들이 올해에도 가격이 높을 것으로 예상하고 가을 배추 재배면적을 작년보다 10% 이상 늘렸기 때문이다. 게다가 추석 이후 맑은 날씨가 지속되면서 배추 작황이 좋아져 출하량이 작년대비 30% 넘게 증가했다.

특히 겨울 배추 주산지인 전라남도 해남에서 1월까지 출하할 수 있는 품종의 재배면적을 15% 가량 늘려 배추값은 이주부터 더욱 낮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반면 부재료 값은 계속 상승할 것으로 보인다.

6월 하순부터 지속된 비와 일조량 부족으로 고추 수확량이 감소했다. 또 강원도 지역 폐작 면적이 늘면서 출하량이 줄어 도매가격이 30~40% 수준 올랐다.

특히 주요 고추 생산지 충청북도 괴산에 탄저병이 심하게 돌아 수확량이 예년에 절반에도 미치지 못하는 농가들이 속출했다.

소금 가격도 크게 올랐다.

올해 초 동일본 대지진으로 방사능 유출 사고가 발생하면서 일본 수출 물량이 늘어나는 등 수요가 커져 천일염 가격은 평균 30~40% 증가했다.

장희성 이마트 채소팀 바이어는 “배추 주산지인 고창ㆍ영암ㆍ영광과 월동배추 주산지인 해남에 배추 풍년이 들어 본격적인 김장철이 되면 가격은 더욱 내려갈 것”이라고 내다봤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