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스트리트저널(WSJ)은 지난 28일 청와대에서 이명박 대통령과 인터뷰를 갖고 북한에 대한 이 대통령의 입장을 31일 보도했다.
이명박 대통령은“현재 북한에게 어떠한 강경한 정치적 행동을 취할 계획은 없다”며 “우리는 북한이 핵무기를 포기한다면 경제적 협력을 추진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이 대통령은 "남북이 진정한 평화 공존, 경제 협력, 북한의 경제 자립을 위하여 핵을 포기해야 한다든가 하는 문제에 대해 계속 협의하고 있다“며 ”남북 문제에 원칙을 가지고 있으며 진정으로 남북이 화해하고 협력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한국 단독으로만이 아니라 6자회담 회원국들 모두가 다 이러한 문제를 인식하고 공조하고 있다"며 "원칙을 그대로 꾸준히 지켜나가고 있다“고 전했다.
이 대통령은 남북 정상회담 추진 가능성에 대해서도 언급했다. 지난 2007년 노무현 정권때 남북정상회담이 진행된 바 있다.
이 대통령은 북한의 핵무기 포기에 대해 중국의 역할도 촉구했다. 중국은 북한에 여전히 높은 영향력을 행사하기 때문이다. 이 대통령은 ”우리는 중국이 G2로써 경제력에 걸맞는 역할을 수행했으면 한다“고 말했다. 신문은 임기 말에 다다른 이명박 대통령이 북한에 대해‘유연한 접근'을 취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했다.
이명박 정부는 지난해 북한이 공격한 천안함 침몰 사건으로 남한 군인 50여명이 숨진 이후 북한의 원조를 모두 끊고 강경 노선을 취해 왔다.
한편 이 대통령은 오는 3일 프랑스 칸에서 열릴 G20(주요20개국) 정상회의에서 유로존 재정위기 해소를 위해 유로존에 속하는 G20국가(주요20개국)인 독일, 프랑스 등이 추후 조치에 대해 적극 설명할 것을 기대했다.
이 대통령은 “유로존 국가들이 계획을 구체화시키고 즉시 실행해야 한다”며 “사전에 다른 리스크도 파악해 대비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