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제약협회는 2일 열린 이사장단 회의에서 전 회원사가 이달 중 의약품 생산을 1일간 중단키로 결의했다고 밝혔다.
생산 중단은 지난달 31일 보건복지부가 내년부터 7500여개 의약품의 가격을 평균 14% 인하 하기로 결정한 데 따른 항의 차원이다.
제약협회 관계자는 “정부 조치에 반대하는 총궐기대회를 개최하기로 했다”며“총궐기대회에 제약사 모든 임직원이 참여하는 만큼 공장 가동도 자연스레 멈출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따라 동아제약을 비롯해 한미약품·보령제약·JW중외제약 등 215개 회원사의 공장이 이날 하루 생산을 중단할 예정이다.
제약협회는 법적 대응에도 나서기로 했다. 헌법소원 등 소송을 불사하는 등 정부와 전면전을 벌일 태세다.
헌법소원은 관련 고시가 재산권 침해에 관한 사항임에도 법률이 아닌 장관 고시로 이뤄지는 데 대한 이의 제기다.
고시 이후 일정 기간이 지나 실제로 약값이 인하되면 “정부의 행정행위로 손해가 발생했다”는 취지로 행정소송에 나설 예정이다.
제약계는 지난 8월 복지부가 약값 인하 계획안을 발표한 이후 업계의 현실을 감안하지 않는 정책이라고 지적해 왔다.
업계는 약값 인하를 추진하더라도 2조5000원이 넘는 손실을 한꺼번에 감당하기 어렵기 때문에 3년 정도에 걸쳐 단계적으로 추진해 줄 것을 주장했다.
또 이미 보험에 등재를 마친 기등재목록 정비사업이 끝나는 2014년 이후로 추진할 것을 요청했었다.
하지만 복지부는 약값 인하 대상 의약품수를 당초 8700개에서 7500개로 줄이는 것 외에는 큰 틀의 변화 없이 약값 인하 고시를 행정예고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