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서 이명박 대통령의 대국민 사과와 7·4·7(7% 성장·국민소득 4만달러·세계7대 강국) 공약의 폐기 등 청와대에 쇄신 서한을 전달한 것을 비롯해 당 지도부에도 강력한 개혁을 요구했던 쇄신파들의 목소리는 한·미 자유무역협정(FTA)비준안 강행처리 이후 자취를 감춘 모습이다.
한·미 FTA 비준안이 강행처리로 통과되면서 ‘국회 폭력 반대’라는 명분을 잃은 상황에서 당내 쇄신 논쟁의 주도권이 홍준표 대표를 비롯한 당 지도부로 넘어갔기 때문이다.
한나라당은 4일 최고위원회의를 열고 내년 공천 방안을 비롯한 당내 쇄신안에 대한 논의를 이어갔다.
이러한 가운데 앞서 국회 폭력 추방과 한·미 FTA 비준안의 여야 합의 처리를 주장하며 단식 투쟁을 벌였던 정태근 의원을 비롯해 당 쇄신안을 주도했던 이들은 비준안 처리 이후 별다른 목소리를 내지 않고 있다.
청와대에 쇄신서한을 전달한 이들 중 한 명인 구상찬 의원은 이날 “지금까지 주장했던 쇄신에 대한 (쇄신파의)입장은 변함 없다”며 “다만 이후 쇄신의 목소리를 어떻게 이어 갈 것인가에 대한 방법에 대해서는 아직 논의하지 않았다”고 말했다.
그나마 쇄신파 중 지도부에 속한 남경필 최고위원만이 원희룡 최고위원과 함께 완전국민경선제(오픈프라이머리)식의 공천안을 주장하고 있는 상황이다.
여권의 한 관계자는 “이 같은 상황은 당 지도부에서 FTA를 기습적으로 강행처리한 데 따른 데 일차적 책임이 있다”면서도 “그러나 결국 이번 강행처리에 폭력이 발생하지 않았다며 내년 불출마 선언에 대한 명확한 입장을 밝히지 않은 등 쇄신파들의 분명치 못한 대응이 스스로의 입지를 줄어들 게 만든 것”이라고 지적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