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음해 주요 경제 거시정책방향을 결정하는 중앙경제공작회의는 대부분 11월말 열렸고 늦어도 12월 초를 넘기지 않았다. 그런데 올해는 7일 현재까지 개최 날짜가 잡혔다는 소식조차 나오지 않고 있는 상황이다.
신문은 중국 정부가 향후 통화정책을 어떻게 운영할 지에 특히 고심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다.
최근 들어 중국 정부 관료들 사이에서 성장률을 유지해야 한다는 목소리를 내고 있다.
중국 왕치산(王岐山) 부총리는 지난 3~4일 수출입의 안정적인 성장을 유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리커창(李克强) 부총리도 지난달 25일 보장성주택 건설 사업이 내수촉진에 도움이 된다며 경제의 안정적이고 비교적 빠른 성장을 강조한 바 있다.
이에 따라 전문가들은 향후 중국 정부가 이전보다 다소 완화된 통화정책을 운영할 것이라는 데 의견을 모으고 있다.
재정부 재정과학연구소 부소장인 류상시(劉尙希) 부소장은 “얼마 전 지준율 인하는 향후 통화정책에 대한 국무원의 생각을 반영한 것”이라며 “앞으로 통화정책을 완화할 것이라는 신호가 계속 나올 것”이라고 예상했다.
반면 물가 불안 요소도 여전히 배제할 수 없는 만큼 신중한 통화정책 기조를 유지할 것이라 주장하는 전문가도 상당수다.
중국 외환투자연구원 탄야링(潭雅玲) 원장은 "물가를 단기간에 잡기는 쉽지 않고 시민들의 체감 물가도 여전히 높다면서 중국이 신중한 통화정책을 유지하는 게 바람직하다"고 전망했다.
신문은 이에 따라 11월 경제수치가 발표되는 9일 이후에나 중앙경제공작회의가 열릴 것이라는 예상이 힘을 얻고 있다고 전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