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는 올해 4분기 전망치(94)보다 17포인트 하락한 것으로 2009년 2분기(66) 이래 최저치다. 낙폭도 2008년 말 글로벌 금융위기 직후인 2009년 1분기 전망지수가 24포인트 급락한 이래 최대였다.
기업들의 현장 체감경기를 수치화(0~200)한 BSI는 100 이상이면 이번 분기 경기가 전 분기에 비해 호전될 것으로 예상하는 기업이 더 많은 것을 의미하고 100 미만이면 그 반대다.
중소기업(77)과 내수기업(75)의 전망치가 직전 분기보다 각각 17포인트와 18포인트 떨어졌고 대기업(94→79)과 수출기업(99→84) 전망치도 큰 폭으로 하락했다.
권역별로는 충청권이 75로 전국 최저치를 보였고 조선 경기 등으로 호조를 보이던 동남권도 79로 하락했다. 다만 제주권 지수(85)는 세계 7대 자연경관 선정과 설연휴 관광 수혜에 대한 기대감으로 유일하게 80을 넘겼다.
세계경제 동반침체 가능성과 관련한 물음에는 응답기업의 78%가 '높다'고 답했다. 4분기 경기실적지수는 68을 기록해 올해 1분기 95를 기록한 이후 4분기 연속 기준치(100) 아래에 머물렀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