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렴한 임대주택 공급으로 대학생들의 주거복지가 개선되는 것과는 별개로 부동산 침체에 따라 오피스텔, 원룸텔 등 수익형 부동산 투자에 집중했던 임대사업자들의 수익률 저하가 우려되고 있는 것.
국토해양부는 지난달 ‘2012년 업무계획’ 보고를 통해 올해 대학생용 전세임대주택 1만가구를 공급하겠다고 밝혔다. 기존 계획인 1000가구에서 10배 확대됐다.
이에 따라 LH는 오는 9일부터 대학생 전세임대 주택 신청접수를 받는다. 서울 3300가구를 비롯, 경기 2000가구, 인천 700가구, 부산·울산 1000가구, 대전·충남 1000가구 등 전국적으로 1만가구가 풀린다.
서울시도 대학생 주거안정을 위해 발벗고 나섰다.
시는 지난해 8월 발표한 ‘서울시 대학생 주택 확대 공급방안’에 따라 유스하우징 공급 확대, 노후다가구 주택 재건축 공급, 시유지 활용한 신축 공급, 노후 공가 수선 공급, 뉴타운·재개발구역 내 임대주택·부분임대아파트 공급 등 다양한 유형의 공급방식을 통해 대학생 주거 문제를 해소해 나간다.
시는 올해 총 515호 1330개 방을 대학생에게 공급할 계획이다. 또 매년 450호 900개 방을 지속적으로 공급한다.
그러나 이같은 정부와 지자체의 공공 임대주택 공급 확대에 따라 민간 임대사업자들의 수익률 저하가 우려되고 있다.
특히 대학가 주변 임대주택 사업은 공실률이 낮고 수익률이 높아 임대사업자들의 꾸준한 인기를 얻어왔다. 업계에 따르면 현재 수도권에서 대학가 근처 오피스텔은 연 7% 전후의 임대수익률을 올리고 있다.
현재 숭실대 인근에서 원룸텔을 운영하는 한 사업자는 “지금 당장은 수익률에 영향이 없겠지만, 향후 대학생용 공공 임대와 가격경쟁이 생긴다면 수익률에 영향을 미칠 수도 있을 것”으로 예상했다. 이 원룸텔은 현재 43개실을 갖추고, 월 40만원대의 임대료를 받고 있다.
한 업계 관계자는 “총선, 대선을 앞두고 정부와 지자체가 서로 대학생에게 임대를 하겠다며 경쟁하는 양상”이라며 “임대공급이 많아지든 임대료가 싸지든 이렇게 공공 임대 공급이 많아지면 대학가 근처 원룸, 도시형생활주택 등은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점쳤다.
유앤알(U&R)컨설팅의 박상언 대표도 "보금자리주택 때문에 인근 아파트 가격이 떨어지는 것처럼 대학생용 공공임대주택이 워낙 저렴하게 공급되기 때문에 기존 임대주택 사업자에게 영향을 미칠 수밖에 없다”며 수익률 하락을 예상했다.
박 대표는 이어 "이미 원룸식으로 90% 공급이 이뤄지고 있기 때문에 민간사업자들은 고급화를 시키거나 투룸 등으로 세대를 늘려서 특화시켜 나가야 할 것”이라고 조언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