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이성우 기자) 코스닥시장이 외국인과 기관이 외면하는 대신 개인들만 넘치는 '넘버 쓰리' 시장이 되고 있다. 게다가 성장성과 견실한 실적이 뒷받침 되는 주도주가 없이 몇몇 바람잡이에 휘둘리는 선거테마주들만이 판치는 '투기장'화 되고 있다는 지적이다. 금융당국이 지난해 말 밝힌 제3의 시장을 만들기보다는 코스닥시장 활성화에 먼저 나서야 한다는 의견이 쏟아지고 있다.
9일 금융투자협회에 따르면 코스닥시장에서 외국인투자자의 시가총액 비중은 지난 6일 7.71%로 지난 1년간 최저치를 기록했다. 한때 10%가 넘는 비중을 차지하던 외국인은 지난 8월 이후 나날이 시가총액이 줄었다. 코스닥시장에서 외국인이 보유한 주식의 시가총액은 전년 동기보다 4000억원 이상 감소했다.
이 시장에서 기관투자자의 시가총액 비중은 지난 2009년 7.05%에서 2010년 6.91%로, 정부 및 정부관리기업은 0.26%에서 0.14%로 하락했다. 기관투자자들의 연간 거래량(매수·매도 합계)도 2010년 29억2160만주였던 것이 지난해에는 24억3723만주로 4억8437만주(16.58%) 감소했다.
이에 반해 각종 루머와 이에 따른 테마주는 넘쳐나고 있다. 정치 테마주인 안철수연구소는 회사 대표가 자기 주식을 사지 말라고 했음에도 지난해 6월 대비 현재까지 713.65% 상승했다. 이로 인해 이 주식은 지난해 실적 대비 주가수익비율(PER)이 108배를 기록했으며, 코스닥 시가총액 상위 4위로 뛰어 올랐다.
전문가들은 이런 현상이 기관이나 외국인이 코스닥 시장에 들어올 환경이 조성되지 않았기 때문이라는 의견을 쏟아냈다.
임노중 솔로몬투자증권 투자전략팀장은 “몇몇 우량주를 제외하면 코스닥 기업들의 펀더멘털(내재가치)이 약해 재무적 리스크가 존재하고, 개인 위주 시장이다 보니 변동성이 커져 외국인과 기관의 접근을 힘들게 한다”고 설명했다.
이에 따라 최근 제3의 시장을 만들겠다고 한 금융당국에 대한 비난도 이어졌다. 금융당국이 먼저 신경써야 할 것은 중소기업들의 자금조달판을 하나 더 만들어 주는 것이 아니라 코스닥시장 정상화에 먼저 힘을 써야 한다는 시각이다.
금융위원회는 작년 12월30일 올해 말 중소기업 주식을 전문으로 거래하는 제3의 주식시장을 만들겠다는 내용의 업무 계획을 이명박 대통령에게 보고했다. 현재 코스닥시장의 진입장벽이 높아 대다수 중소기업에게는‘그림의 떡’이라는 점이 감안됐다.
하지만 코스닥시장도 현재 부실한 상황에서 다른 시장을 만든다는 것은 걸어다니지도 못하면서 뛸려고 하는 것과 마찬가지라고 비판이 쏟아지고 있다.
한 업계 관계자는 “제3 주식시장안은 기관투자자만 들어올 수 있게 하는 시장을 만들겠다는 것인데, 코스닥에도 없는 기관을 제3의 시장으로 보내겠다는 것인지 알 수가 없다”며 "여기에 상장될 중소기업들보다 현재 코스닥에 상장된 종목이 우량한 종목이 많은데 이보다 덜한 기업들에게 기관 자금을 연계하겠다는 건 말이 안된다”고 강조했다.
이에 대해 금융위 관계자는 “기관투자자의 참가 활성화를 위해 지금 따로 준비하는 것은 없다”며 “이 문제는 단기간의 대책으로 갈수 있는 것이 아니라 장기적으로 검토한다는 얘기"라며 한발 물러섰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