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일 대한상공회의소가 최근 전국 570개 건설사를 대상으로 ‘2012년 건설경기 전망과 업계의 대응계획’을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응답기업의 45.4%가 ”올해 건설경기가 97년 IMF 외환위기 때보다 더 나빠질 것“이라고 답했다. 33.0%는 ‘비슷할 것’, 21.6%는 ‘나아질 것’으로 예상했다.
작년과 비교한 건설사들의 경영여건 역시 ‘어려울 것’(63.0%)이란 답변이 ‘나아질 것’(10.9%)이란 응답보다 월등히 많았다.
이같은 부정적 전망의 이유로 기업들은 ‘일감부족’(65.7%)을 단연 첫 손에 꼽았고, ‘자금조달 애로’(28.7%)와 ‘원자재가 상승 등 비용증가’(4.5%) 등을 지적했다.
대한상의는 “보통 선거철에는 건설·개발 공약으로 경기회복에 대한 기대감이 크기 마련인데 올해는 복지이슈와 대내외 경기악화로 기대감이 덜한 것 같다”면서 “4대강사업이 마무리되는 가운데 정부가 SOC 예산을 줄이고 가계부채 관리를 강화하는 것도 악재로 작용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실제 절반 이상의 건설사는 확보 일감이 6개월치 이내인 것으로 조사됐는데, 공사물량을 어느 정도 확보했는지 묻는 물음에 ‘6개월치’(31.6%)라는 답변이 가장 많았고, ‘3개월치 이하’가 22.3%였다. 그 다음으로 ‘1년치’와 ‘2년치’라는 답변이 18.9%, 14.6%로 각각 나왔다.
수주 전망 역시 암울한 것으로 조사됐다. 응답업체의 64.7%가 ‘올해 수주가 작년보다 줄어들 것’으로 예상했고, ‘늘어날 것’이란 긍정적 예측은 10.4%에 그쳤다.
수주가 감소할 분야로는 정부의 SOC 예산 축소를 반영한 공공 토목공사(47.5%)가 가장 많이 꼽혔고, 공공부문 건축공사(30.2%), 민간 주택(18.3%), 민간 비주택(4.0%) 등의 순이었다.
건설경기 회복 시기에 대해서는 ‘경기가 언제 풀릴지 기약 없다’는 답변이 41.9%로 가장 많은 가운데, ‘2014년 이후’(27.0%), ‘내년 하반기’(20.4%) 순으로 회의적 답변이 많았다.
문제는 상당수 기업들이 위기 극복을 위한 뾰족한 대책을 마련하지 못하고 있는 것(39.5%)인데, 대한상의는 건설경기 부진이 계속될 경우 부실 혹은 도산건설사들이 속출할 것이라고 우려했다.
대책을 마련하고 있는 기업(55.1%)들도 주로 ‘경비절감, 인력축소’(49.3%) 등의 허리띠 졸라매기식 방안을 강구하고 있었다.
건설경기 진작을 위한 정책으로는 ‘SOC 투자확대’(32.4%), ‘PF 등 건설자금 원활화’(23.1%), ‘준공 후 미분양 해소지원’(15.3%), ‘분양가상한제 폐지’(11.6%), ‘재건축·재개발 활성화’(11.4%) 등을 차례로 꼽았고, 주택시장 활성화 대책으로는 ‘DTI 규제 완화’(35.1%), ‘주택구입 자금지원 및 소득공제 확대’(29.6%), ‘취득세・양도세 등 부동산세제 감면 확대’(24.2%) 등을 지적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