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지만 '호남 물갈이' 등 광주가 공천 개혁의 1순위로 꼽히고 있어, 당 지도부와 이 지역 출신 인사들 간에 날 선 신경전이 벌어졌다.
민주통합당 지도부는 19일 광주에서 최고위원회의를 열고 최근 소외론이 제기된 호남지역을 다독이는데 힘을 기울였다.
한 대표는 광주시당에서 열린 최고위회의에서 "광주는 군부독재 철폐의 서막을 올린 지역으로 1997년 민주정부를 수립한 근거지며 2002년 노무현 바람의 진원지”라며 “2012년 광주는 반드시 정권교체의 진원지가 될 것이라고 확신한다”고 말했다.
이는 지난 경선에서 박지원 최고위원을 제외하고 호남 출신이 모두 낙선하는 등 '호남 소외론'이 대두되는 상황에서, 호남지역의 불만을 누그러뜨리기 위한 발언으로 보인다.
그러면서도 인적쇄신을 위한 호남 물갈이론을 놓고 신경전이 공식석상에선 처음으로 오갔다.
한 대표는 “우리는 공천혁명을 약속했고 밑으로부터의 공천혁명은 이미 시작됐다”면서 “광주ㆍ전남을 비롯해 많은 지도자들이 자신의 지역구에서 불출마하고 공천혁명의 물꼬를 트려고 어려운 지역으로 바꾸고 있다”고 기득권 포기를 강조했다.
한 대표는 전날 서울 강남지역 출마 의사를 밝힌 정동영 상임고문에 이어 이날 호남 불출마를 선언한 유선호 의원을 의식해 이 같은 발언을 한 것으로 보인다.
여기에 '밑으로부터의 공천혁명'을 강조해 앞으로 호남을 중심으로 한 당 중진들의 기득권 포기에 대한 압박이 더욱 거세질 것임을 예고했다.
이에 박지원 최고위원은 “호남에서 20%만 한나라당으로 지지가 넘어가더라도 과거에 정권교체 할 수 없었던 것을 기억한다”면서 “공천혁명은 반드시 이뤄야 하지만 군사독재, 한나라당 논리로 호남 물갈이론을 주장해서는 안된다”고 경계심을 나타냈다.
문성근 최고위원은 “지도부 구성 과정에서 애석하게도 시민사회 쪽에선 저 혼자 들어오다보니 시민사회에서 좀 허탈해하는 측면도 있다”면서 “정말 소중한 당의, 사회의 자산이기 때문에 너무 허탈해하지 않고 손잡고 갈 수 있도록 각별히 마음을 써야 하지 않을까 싶다”고 말했다.
이 같은 언급은 최근 당직인선 등과 관련해 한 대표 '친위체제'가 강화됐다는 분석이 나오는 가운데, 시민사회 측의 불만을 우회적으로 표출한 것으로 보인다.
이에 앞서 한 대표를 비롯한 지도부는 국립 5ㆍ18 민주묘지에서 참배했다.
한 대표는 이한열 열사의 묘석에서 이한열 열사 어머니인 배은심씨와 만나 포옹했다.
한 대표는 이 열사의 묘석을 쓸어내리면서 “영령들이 가신 뜻 꼭 기억하겠다”면서 “정권교체와 총선승리는 우리에게 부여된 절체절명의 소명이라는 것을 가슴 깊이 새겨 우리의 꿈을 반드시 이루겠다”고 말했다.
지도부는 최고위원회의에 이어 광주ㆍ전남지역 기자들과 간담회를 가진 뒤 양동시장에서 상인들과 간담회를 여러 고충을 수렴할 예정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